경기 악화로 올해 들어 가계ㆍ자영업자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라고 진단하면서도 대출 유형별 취약요인 등을 분석하며 위험 관리에 나섰다.
1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채권의 비중)은 0.84%로 전년동기(0.77%)에 비해 0.07%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말(0.75%)과 비교하면 상승폭이 0.1%포인트에 가깝다. 전 금융권 가계대출 연체율(3월 기준)은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3년(2.12%) 이래 지난해(0.77%)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하다가 처음 반등했다. 업권별로는 상호금융(1.57%)과 여신전문업계(3.15%)의 연체율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0.19%포인트, 0.34%포인트 올라 상승폭이 두드러졌다. 은행권 연체율(0.29%)은 증가폭이 0.04%포인트로 비교적 완만했다.
자영업 대출 연체율 역시 악화됐다. 전 금융권의 3월 말 연체율은 0.75%로 전년동기(0.58%) 대비 0.17%포인트 급등했다. 특히 지방에 있는 은행ㆍ저축은행 등이 취급한 대출을 중심으로 부실이 가속화하는 모양새다. 은행권 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연말 0.32%에서 0.38%로 뛰었는데, 이중 지방은행은 같은 기간 0.58%에서 0.69%로 올라 상승폭이 2배였다. 지방 소재 저축은행과 상호금융도 3월 말 연체율이 각각 7.75%, 2.40%로 조사돼 부실 정도가 컸다.
연체율이 올라간 근본 배경은 경기가 위축된 지역의 서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대출 상환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저신용 차주들이 이용하는 대출의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크다”고 말했다. 특히 개인사업자 대출은 금융사들이 지난 수년간 가파른 속도로 대출을 늘리는 과정에서 상환능력 심사가 느슨하게 이뤄져 부실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다만 가계대출 연체율 증가에는 지난 연말 부실채권 정리로 대출 잔액이 대폭 줄어든 데 따른 기저효과도 일부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날 금융위는 손병두 사무처장 주재로 가계ㆍ개인사업자대출 건전성 점검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손 사무처장은 “가계대출 연체율 수준은 예년에 비해 안정적인 편이고, 자영업 대출도 지방은행과 제2금융권의 손실흡수능력이 양호한 만큼 금융시장 전반적인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금융위는 금융연구원 가계부채연구센터를 중심으로 가계ㆍ개인사업자 대출의 상호 연계성과 세부 유형별 취약요인 등을 분석하는 작업에 착수할 계획이다.
장재진 기자 blanc@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