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완 김기민 김지영…한국이 발레 영재의 나라가 된 힘은 ‘디테일’
“기술적으로만 훌륭한 무용수에게 상을 주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기술도 우수하면서 미적인 표현까지 할 수 있어야 상 받을 자격이 있지요. 여러분의 학교는 그걸 하고 있네요.”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 부설학교인 존 크랑코 스쿨의 교장 타데우시 마타치가 김선희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무용원 교수에게 건넨 말이다. 지난달 11~17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2019 유스아메리카 그랑프리 콩쿠르가 끝난 뒤였다. 마타치 교장은 한국 참가자들을 칭찬했다. 이 콩쿠르에서 한예종 학생인 이준수(17)는 발레 시니어 솔로 부문 1위와 파드되 부문 2위에 올랐다.
한국 발레를 대표하는 이름인 김기민 마린스키 발레단 수석무용수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K 발레의 위상을 높이는 무용수들의 뒤에는 김선희 교수가 있다. 그는 2015년 3월부터 최근까지 한예종 무용원장을 지냈다. 미국 아메리칸발레시어터(ABT)와 보스턴발레단에서 마스터클래스도 진행할 정도로 세계 발레 지도자들 사이에서도 이름이 났다. 최근 만난 김 교수는 “훌륭한 제자들 덕분에 저까지 덩달아 유명세를 타고 있어 제자들에게 더 고맙다”고 말했다.
한국 무용수들이 유명 콩쿠르를 ‘석권’하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중반부터다. 세계 5대 발레콩쿠르로 꼽히는 불가리아 바르나 콩쿠르의 경우 2012년 전체 수상자 11명 중 6명이 한국인이었을 정도다. 당시 금상을 받은 김기민, 박세은, 김명규, 최지영은 국내외 발레단에서 주역으로 뛰고 있다. 한국 무용수들이 가진 힘을 김 교수는 “디테일”이라고 요약했다. “서양 무용수들보다 신체적 조건이 뛰어나다고 할 순 없어요. 신체의 디테일, 예술적 표현의 디테일이 그만큼 더 좋기 때문에 인정을 받는 거죠.”
김 교수가 학생들의 무대 경험을 길러 주기 위해 1997년 만든 창작 발레 ‘인어공주’는 무용수 산실의 역할을 톡톡히 해 왔다. ‘인어공주’는 지난해 10월 뉴욕시티센터 극장 초청으로 미국에서 공연돼 호평 받았다. 올해 보스턴발레단에 입단한 이수빈과 2017년 러시아 모스크바 국제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박선미가 인어공주 역을 번갈아 맡았고, 김기민이 왕자를 연기했다. 세 사람 모두 한예종을 거친 김 교수의 제자들이다.
무용수들의 실력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 하지만 발레의 최종적 목적은 관객과의 만남이다. ‘무용수들에게 내재된 예술성을 관객들에게 어떻게 잘 전달할 것인가.’ 김 교수가 제자들을 지도할 때 초점을 맞추는 부분이다. 무용수뿐만 아니라 후세대를 양성할 후배 교수들에게도 이 점을 강조한다.
한국인 무용수들의 실력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갈라 공연이 7월 열린다. 김 교수가 예술감독을 맡았다. 영국 로열발레단의 마니아넬라 누녜즈와 바딤 문타기로프를 비롯해 러시아 볼쇼이 발레단, 보스턴 발레단 등 이름만 들어도 알 만한 발레단의 수석무용수들과 김지영, 김기완 등 한국 무용수 13명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김 교수는 “세계 메이저 발레단의 주역을 이렇게 많이 배출한 나라는 한국 뿐”이라며 “각 나라에서 솔리스트로 활동 중인 기특한 무용수들이 많다는 걸 확인할 수 있는 자리”라고 설명했다.
양진하 기자 realh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