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 공저자 논문, 서울대가 가장 많아
최근 10년간 87명의 교수가 139건의 논문에 자녀를 공저자로 등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교수 자녀에 국한되지 않고 미성년자가 공저자인 논문은 서울대가 47건으로 가장 많았다.
교육부는 13일 대학 소속 연구자들의 미성년 공저자 등재 실태조사 결과와 조치 현황을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2007년 이후 10여년간 총 50개 대학의 87명의 교수가 139건의 논문에 자녀를 공저자로 등재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학의 1차 검증 결과 서울대 2명, 가톨릭대 2명, 포항공대ㆍ청주대ㆍ경일대 각 1명으로 교수 총 7명이 논문 12건에 미성년 자녀가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공저자로 올린 사실이 확인됐다. 연루된 자녀는 총 8명인데 이 중 2명은 국내 대학에, 6명은 해외 대학에 진학했다.
청주대 교수 자녀는 대입에 해당 논문이 활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고, 서울대 교수 자녀는 아직 조사를 받지 않았다. 교육부는 해외 대학에도 학생들의 부정행위를 통보했다.
대학 측의 부실 검증 정황도 드러났다. 대학들은 나머지 논문 127건의 경우, 자녀가 연구에 실제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판정했다. 하지만 교육부가 연구윤리 전문가 자문단을 구성해 살펴본 결과 85건은 검증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교육부는 이 중 국가 연구비가 지원된 51건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방부 등 연구비를 지원한 부처가 직접 재검증해 연구비 환수 등 조치를 검토하라고 통보했다.
교육부는 지난해 하반기에는 교수 자녀에 국한하지 않고 미성년자가 공저자로 등재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추가 실태조사를 펼쳤다. 56개 대학의 교수 255명이 논문 410건에 미성년자를 공저자로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앞선 조사 때 드러나지 않았던 교수 자녀의 참여 행위가 21건 추가 확인됐다. 교수의 친인척, 지인 자녀가 참여한 논문도 22건 확인됐다.
현재까지 논문 211건에 대한 대학의 자체 검증이 완료됐고, 부정 행위 2건이 확인됐다. 동의대와 배재대 교수가 자녀를 부정 참여시킨 것으로 나타났는데, 동의대 교수는 견책, 배재대 교수는 경고 징계를 받았다.
배재대 교수 자녀는 특기자 전형으로 대학에 입학할 당시 부정 참여한 논문을 대입에 활용했는지 조사받고 있다. 2017학년도에 교과 일반 전형으로 국내 대학에 진학한 동의대 교수 자녀는 대입에 논문을 활용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교육부는 미성년자 논문이 부정행위로 최종 판정되거나 대입까지 활용된 것으로 확인되면 징계 조처 및 수사 의뢰할 예정이다.
대학별로 보면, 미성년자가 공저자인 논문은 서울대학교(47건)에서 가장 많이 나왔다. 경상대(36건), 성균관대(33건), 부경대(24건), 연세대(22건)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대는 교수의 미성년 자녀가 이름을 올린 논문도 14건으로 가장 많았다.
송옥진 기자 clic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