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G) 통신 상용화가 시작되며 이동통신사의 5G 상품 가입자가 예상보다 빠르게 늘고 있지만 사용자들은 정작 5G 시대를 체감하기 쉽지 않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소비자가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5G 기지국이 촘촘하게 깔려 있지 않아 통신 상태가 4G(LTE)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 이통 3사 가운데 가장 먼저 ‘완전 무제한 요금제’ 카드를 들고 나온 KT는 데이터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는 조항을 만들어 논란이 되고 있다.
7일 KT에 따르면 현재 유일한 5G폰인 삼성 ‘갤럭시S10 5G’ 가입자는 출시 이틀째인 6일 오후 기준 3만명을 돌파했다. LG유플러스는 2만5,000명이 가입했다. SK텔레콤 추정치까지 합하면 8만명 안팎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동중엔 원활하게 5G를 이용하기 힘든 상황이다. 서울시청, 홍대입구역, 강남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선 LTE 신호만 잡히는 곳이 상당히 많다. 지하로 내려가거나 건물 내부로 들어가면 LTE 신호만 잡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5G는 주파수 특성상 곧게 뻗는 ‘직진성’이 강해 장애물을 만나면 돌아가지 못하고 튕겨 나온다. 때문에 LTE보다 기지국을 훨씬 많이 구축해야 하지만, 현재 이통 3사 기지국 개수로는 아직 한계가 많다. 그마저도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하면 5G는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변재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제출 받은 5G 기지국 현황에 따르면, 서울ㆍ수도권과 5대 광역시 기지국 비중 차이는 최소 2.3배로 조사됐다. 가장 차이가 큰 LG유플러스는 서울ㆍ수도권 기지국 수가 1만1,051개인 반면 5대 광역시는 통틀어 733개에 그쳤다. 또 기지국이 주변 360도로 전파를 쏘려면 기지국 1개당 3개의 안테나 장비가 필요한데 이통 3사 평균 기지국 당 안테나 장비 수는 1.9개로 조사됐다.
변재일 의원은 “5G 상용화 초기인 만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적”이라며 “현재 5G 서비스 제공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혼란을 방지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지국을 늘려 5G 서비스가 안정화 되더라도 5G 콘텐츠와 합리적 요금제가 뒷받침돼야 한다. 고품질의 가상현실(VR) 영상을 1시간 시청하면 데이터 소모량이 최대 30GB에 달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월 8만원에 속도 제한 없는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내놓은 KT가 2일 연속 하루 53GB를 초과하는 데이터를 사용하면 1Mbps로 속도를 제한한다는 조항을 끼워 넣어 논란이 커지고 있다.
통신사들은 보통 개인 요금제 가입자들이 상업용으로 데이터를 사용하거나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 접속 등 비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사용하면 공정사용정책(FUP)을 위반했다고 보고 데이터를 차단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KT와 마찬가지로 5G 완전 무제한 요금제를 운영 중인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상업용ㆍ비정상 앱 사용, 폐쇄회로(CC)TV 연결 등 FUP 위반에 해당하는 사유만 규정할 뿐 KT처럼 일일 용량을 제한하진 않는다. 이통사 관계자는 “풀고화질(FHD) 영상을 24시간 시청하면 53GB 정도 소진돼, 이를 기준으로 사용량을 정한 것 같다”면서도 “하지만 5G 요금제는 초고화질(UHD) 수준의 VR 영상 등이 핵심 콘텐츠라 5G 요금제에는 맞지 않는 기준”이라고 지적했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