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닫기
[영자신문 사설 읽기] 행복에 도취될 이유 없어(No reason for euphoria)

알림

[영자신문 사설 읽기] 행복에 도취될 이유 없어(No reason for euphoria)

입력
2019.03.11 04:40
23면
0 0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3월 7일자 코리아타임스 사설>

$30,000 income era brings greater challenge to Korea

소득 3만달러 시대는 한국에 더 큰 도전을 야기한다

It is certainly good news that the country’s per capita gross national income (GNI) has exceeded the $30,000 mark. This amazing figure means South Korea has become the seventh country in the world to join the “30-50” club of economic powerhouses whose per capita income and population are over $30,000 and 50 million, respectively.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3만달러를 넘어섰다는 것은 분명 반가운 소식이다. 이 놀라운 수치는 한국이 1인당 소득과 인구가 각각 3만달러와 5천만명을 넘어선 “30-50” 경제강국 클럽에 진입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 nutshell, the nation’s ascendance to the coveted club reveals its brilliant economic success story. Korea has already emerged as a rags-to-riches model which many developing countries try to emulate. Rapidly rising from the ashes of the 1950-53 Korean War, the country achieved what was called the Miracle on the Han River in the 1970s and 80s.

간단히 말하자면, 한국이 남들이 다 부러워하는 경제강국 클럽에 오른 것은 눈부신 경제적 성공을 보여준다. 한국은 이미 무일푼에서 부국으로 부상하여 많은 개발도상국가들이 이를 모방하려 하고 있다. 1950~53년 한국전의 폐허로부터 빠르게 성장하여 한국은 1970년대와 80년대 한강의 기적을 이뤄냈다.

The per capita GNI, a measure of the population’s purchasing power, soared from $67 in 1953 to $11,432 in 1995 and to $21,695 in 2007. The Bank of Korea said Tuesday that the figure hit an all-time high of $31,349 last year, up 5.4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his record confirms that Korea’s march toward economic affluence has not yet stopped.

국민의 구매력의 척도인 1인당 GNI는 1953년 67달러에서 1995년 1만1,432달러, 그리도 2007년엔 2만1,695달러로 치솟았다. 화요일 한국은행은 이 수치가 전년 대비 5.4% 증가하여 작년에 3만1,349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 기록은 한국의 경제적 풍요를 향한 행진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사실을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

The country also surprised the world in 2000 when it became a donor country after having been a major recipient of international aid for a half century. Korea boasts that it has realized outstanding economic development and created a functioning democracy at the same time in such a short period of time.

한국은 또한 반세기 동한 국제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가가 된 2000년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한국은 짧은 기간에 눈부신 경제 발전을 달성하고 동시에 민주국가를 이루어 냈다고 자랑하고 있다.

That is why Koreans deserve lavish praise for their toil and moil. They are still working the longest hours among their counterparts in OECD member states. In this sense, it is right to say Koreans’ economic achievement couldn’t have been possible without their hard work and devotion.

이는 한국인이 그들의 고생과 노고에 대해 아낌없는 찬사를 받아 마땅하다. 그들은 아직도 OECD국가의 국민들 중 최장 시간 일을 하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인의 경제적 업적은 그들이 고된 노동과 헌신에 없었다면 달성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다.

Now the problem is whether the nation can keep this growth trajectory down the road. This is still an open question. Despite the remarkable income data, the country is faced with prolonged economic doldrums. The growth outlook is getting bleaker with growing signs of the economy losing steam.

이제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성장 궤적을 계속해 나갈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이 문제는 아직도 의견이 분분하다. 괄목할 만한 소득 데이터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장기간 지속된 경제 침체에 직면해 있다. 성장 전망은 경제 활력 상실의 고조되는 징후와 더불어 점점 더 암울해지고 있다.

For this reason, all the economic players -- businesses, consumers and government -- cannot and should not feel complacent about the per capita income increase. Only a few, especially the rich, feel they are better off now than ever before. Most workers complain that their real income has decreased due to widening income inequality amid the continuing economic slump.

이런 이유로, 기업, 소비자 및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들은 1인당 소득 증가에 안주할 수도 없고 해서도 안 된다. 특히 소수 부자들만이 예전보다 더 살기가 좋아졌다고 느끼고 있다.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계속되는 경기 침체 속에서 심화되는 소득 불평등 때문에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있다고 불평하고 있다.

More worrisome is that the economy is expected to become weaker because exports, which had long propped up the nation’s growth, fell considerably for the third straight month in February. Gloomy external factors such as a slowing global economy and the ongoing U.S.-China trade war are also weighing down on Korea.

더 걱정스러운 것은, 오랫동안 한국의 성장을 지탱해온 수출이 2월까지 3개월 연속 크게 감소했기 때문에 경제가 더 약화될 것이라는 것이다. 부진한 세계 경제와 계속되는 미-중 무역 전쟁과 같은 암울한 대외 요인들 또한 한국을 짓누르고 있다.

Job creation is also suffering a setback after the unemployment rate rose to 3.8 percent, the highest since 2001. President Moon Jae-in’s income-led growth policy has so far failed to generate more jobs and bring higher wages to workers.

일자리 창출 또한 실업률이 2001년 이후 최고치인 3.8%로 증가한 후 타격을 받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은 현재까지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을 못하고 있으며 근로자에 더 높은 임금을 가져다 주지도 못하고 있다.

Moon and his policymakers should make all-out efforts to speed up economic recovery by promoting deregulation, innovation and structural reform. They need to take bolder measures to enable the people to feel they are better off.

문 대통령과 그의 정책입안자들은 규제 완화, 혁신, 그리고 구조 개혁을 통해 경기 회복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들은 국민들이 더 잘살게 되었다고 느낄 수 있도록 과감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안성진, 코리아타임스 어학연구소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