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개각에는 남북협력을 가속화하겠다는 청와대의 의지가 적극 반영됐다는 평가다.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와 주요 남북협력 사업을 수행하는 문화체육관광부, 국토교통부 장관직에 청와대의 ‘신(新)한반도 체제’ 구상을 전폭 지원할 수 있는 인사들이 채워졌기 때문이다.
남북 교류협력의 최선봉에는 남북관계 해빙의 출발점이었던 참여정부 시절 정동영 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을 지낸 김연철 통일연구원장이 섰다. 당시 남북 평화정책을 고안했던 경험을 기반으로 현 정부에서도 신한반도 체제의 뼈대를 세울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문체부의 박양우 장관 후보자 역시 참여정부 때 문화관광부 차관을 지내 남북 문화예술 교류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는 인물로 꼽힌다. 문체부는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부터 시작해 수많은 남북 스포츠예술 교류를 성사시켰다. 특히 2차 북미 정상회담 결렬로 대북제재 완화가 요원해진 상황에서 당분간은 제재 위반 소지가 적은 문화예술 협력이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어서 박 장관 후보자의 역할도 주목 받고 있다.
국토부는 남북경협의 핵심이라 할 만한 철도ㆍ도로 등의 인프라 사업에서 신한반도 체제 실현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부 재직 중 주로 교통 분야에서 커리어를 쌓아 온 철도ㆍ도로 전문가로 알려진 최정호 전 전북도 정무부지사가 국토부 장관 후보자로 낙점됐다. 최 후보자는 지난해 대북제재로 인해 공동조사 관문을 힘겹게 넘었던 남북 철도ㆍ도로 연결 사업을 신한반도 체제 핵심 사업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청와대는 이번 국토부 인선에서 이를 대비해 철도∙도로 분야 전문가들을 위주로 후보를 추린 것으로 전해졌다. 북미 정상회담 합의 도출 실패로 주춤했던 남북 관계가 이들의 활약으로 활발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
김정원 기자 garden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