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후 사회주의 활동을 했지만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돼 3ㆍ1운동 100주년을 맞아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5명의 명단과 활동이 뒤늦게 확인됐다.
5일 국회 정무위 소속 최운열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가보훈처로부터 제출 받은 ‘2019년 3ㆍ1절 계기 독립유공자 서훈 포상자 명단’ 자료에 따르면 1945년 8월 15일 광복 후 사회주의 계열에서 활동했지만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을 한 5명이 서훈을 받았다. 보훈처는 지난해 4월부터 광복 후 사회주의 활동자에 대해서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하지 않은 경우 포상하기로 방침을 바꿔 후 같은 해 8월 광복절에 6명, 11월 순국선열의날에 5명 등 이번 3ㆍ1절까지 세 번에 걸쳐 총 16명을 포상했다.
학생 시절 독립운동을 했지만 광복 후 조선공산당 공산청년동맹 서울지부 청년단원으로 활동한 전력 때문에 6차례 포상에서 탈락한 무소속 손혜원 의원의 부친 고(故) 손용우씨가 지난해 광복절 건국훈장 애족장(5급)을 받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자연스럽게 보훈처 방침도 외부에 공개됐다.
한귀재씨는 1931년 1월 서울에서 조선학생 전위동맹을 재조직하고 보성고등보통학교, 경신학교 등에서 독서회를 조직하다 체포돼 징역 3년을 받았다. 광복 후 면 인민위원장으로 활동해 1946년 미군정 포고령 위반으로 징역 6월을 받고, 남로당에 가담했지만 경찰이 수집한 증언에 따르면 6ㆍ25전쟁 당시 우익 인사 등의 석방에 앞장섰던 것으로 드러나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게 됐다. 보훈처는 한씨가 일시적으로 좌익 활동을 했지만 한국에 정착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앞서 2005ㆍ2006ㆍ2015년 3차례 심사에선 거부됐다.
1930년 3월 여수공립수산학교 재학 중 항일비밀결사 독서회에 참여했다가 체포돼 징역 1년을 받은 박창래씨는 광복 후 여수시 화양면 인민위원장으로 추대됐지만, 진실화해위원회 조사 결과 1948년 10월 여순 사건 당시 ‘만성리 형제묘’에서 군경에 희생돼 북 정권 수립과 관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박씨의 모교인 여수공립수산학교의 후신 여수대에서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해 명예졸업장을 수여한 점도 반영돼 3번째 도전 만에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한씨와 박씨 외에도 사회주의 계열 항일운동을 했던 3명도 포상을 받았다. 1928년 8월 신간회 평북 철산지회를 설립ㆍ활동하다가 1년 징역을 살았던 정상윤씨는 광복 후 충남 공주군 인민위원장을 맡았다. 1949년 서울에서 좌익 활동을 한 이유로 수감됐지만 6ㆍ25전쟁 발발과 동시에 사망해 북한 정권과 무관한 것으로 파악돼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1932년 야학회를 운영하고 농민조합 준비위원회 활동을 해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 받은 손동창씨와 1930년대 농장 소작쟁의, 전남농민협의회와 조선공산당 재건 전남동맹에서 활동해 징역 3년을 선고 받은 정영한씨는 북한 정부 수립과 관계가 없는 것으로 파악돼 각각 건국훈장 애족장과 건국포장을 받았다.
다만 3ㆍ1운동에 가담해 체포돼 옥고를 치르거나 태형을 받은 이모씨 등 9명은 북한 정부에서 근무하고 일제에 부역한 사실이 드러나거나, 포상 대상자와 동일인으로 확인돼 포상자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안아람 기자 oneshot@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