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정부 임시폐쇄(셧다운)로 발표일정이 미뤄졌던 미국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당초 시장이 예상했던 수준인 2.9%로 집계됐다. 작년 4분기 성장률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경기부양책으로 가계소비와 기업투자가 호조를 보이며 시장 전망치를 웃돌았다. 다만 경제전망 기관들은 지속되는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을 들어, 미국도 올해는 경기 둔화를 피할 수 없을 거란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
1일 외신 등에 따르면 전날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2018년 4분기 실질 경제성장률은 2.6%(전분기 대비 연율)였다. 시장이 예상한 2.2%(미국 블룸버그 집계 평균)를 상당히 웃도는 수준이다.
이로써 미국의 지난해 연간 성장률은 2.9%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3% 성장에는 미달했지만 백악관은 성공을 자축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2019년 성장률도 3% 범위 내에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지난해 미국의 성장에 기여한 것은 가계소비와 기업투자였다. 특히 정보기술(IT) 기업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 소프트웨어 등 지식재산권 부문 투자가 전년 대비 7.7%로 크게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이는 ‘기술혁신 호황’이던 1990년대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반면 수출은 마이너스를 기록해 무역분쟁의 부정적 여파가 드러났고 주택투자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의 준수한 성적표에도 불구하고, 올해는 미국도 세계적인 경기둔화 추세를 피하기 어려울 거란 전망이 많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의 성장률 전망을 2.5%대로, 주요 투자은행들은 2.3%까지 내려 잡았다. 미국 시장이 외형상 양호한 것은, 유럽이나 중국 등과의 대비효과에 불과하다는 이유에서다.
영국 경제전망 기관 옥스퍼드이코노믹스는 “지난해 미국 성장의 주요인은 트럼프 정부의 대대적 감세와 재정확대 정책”이라며 “올해는 정책 효과가 사라지고 무역분쟁과 브렉시트 등 보호주의 기조 확산과 세계적 경기둔화 여파로 미국 성장률도 2%까지 떨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지난 연말부터 1개월 넘게 이어진 미 연방정부 셧다운의 여파가 지표에 반영되는 올해 1분기에는 성장률이 급격히 나빠질 수도 있다.
금융시장에선 미국의 경제지표가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금리 정책에 미칠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작년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상승률은 1.9%로, 목표 물가상승률 2%에 근접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27일 의회에 출석해 “물가 상승 압력이 미미하다”며 “경제는 건강하지만, 엇갈리는 경기 신호들이 있어 상황을 명확히 판단하기 위해 금리 인상 주기를 중단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인현우 기자 inhy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