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문 대통령 신한반도체제 구상 차질…‘한반도 운전자론’ 또 시험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문 대통령 신한반도체제 구상 차질…‘한반도 운전자론’ 또 시험대

입력
2019.02.28 18:53
수정
2019.02.28 22:30
1면
0 0

 당혹한 靑 “북미대화 유지 노력” 한미 정상회담 조기개최 거론 

 트럼프 “중재 역할 적극 해 달라”…귀국길에 문 대통령과 통화 


청와대는 28일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당초 백악관이 북미 공동선언문 발표를 공식 일정에 포함해 공표한 만큼, 북미 간 핵 담판이 어떤 식으로든 결실을 맺을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던 터라 결렬은 의외라는 반응이 주를 이뤘다. 한반도 정세가 시계제로의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한반도 운전자론’을 강조해온 문재인 대통령의 리더십은 다시 한번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남북 정상 간 만남은 물론 한미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를 추진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청와대는 이날 북미 정상회담 결렬 소식에 아쉬움을 표명하면서도 북미 대화가 지속하기를 기대한다는 공식입장을 밝혔다. 김의겸 대변인은 춘추관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점은 아쉽게 생각한다”며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룬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미국과 북한 앞으로도 여러 차원에서 활발한 대화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번 북미회담을 실패로 규정하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룬 것도 분명해 보인다”며 “두 정상이 오랜 시간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함으로써 서로 상대방의 처지에 대해 이해의 폭과 깊이를 확대한 것으로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북미 간 합의 결렬 배경에 대해서도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크게 타결하기를 원했던 것 같다. 그러나 그런 기대치에 두 정상이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청와대의 이 같은 반응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소기의 성과를 내지는 못했지만, 북미 정상회담의 판 자체가 깨지지는 않다는 점을 분명히 해 대화의 불씨를 살려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김 대변인은 특히 “우리 정부는 미국과 북한이 긴밀한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가면서, 대화의 모멘텀을 유지해 나가도록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문 대통령이 다시 중재자 역할에 나설 수 있음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귀국길에 오른 직후 전용기 ‘에어포스 원’에서 이뤄진 한미 정상 간 통화에서도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에 대한 공감대가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대화해 그 결과를 알려주는 등 적극적 중재 역할을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김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에 “가까운 시일 안에 직접 만나 보다 심도 있는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제안했고, 트럼프 대통령도 이에 동의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문 대통령의 역할과 책임감이 더 깊어졌다”며 “더 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당초 2차 북미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낙관했었다. 실제 북미 공동선언문 발표 예정시간을 1시간여 앞둔 오후 2시 10분 이뤄진 김 대변인 정례브리핑 때만 해도 기대감을 감추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오늘 회담 결과에 따라 남북 간에 대화의 속도와 깊이가 달라지겠지만, 잠시 휴지기에 있었던 남북대화가 다시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사실상 2차 북미회담이 소기의 성과를 낸다는 것을 전제로 한 언급이었다. 앞서 국가안보실 1ㆍ2차장 동시에 교체도 단행했다. 남북관계와 외교안보 정책을 실무 총괄하는 참모진을 모두 교체한 것으로, 2차 북미회담 이후를 준비하기 위한 포석이 아니냐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청와대의 기대감은 30분도 채 안 돼 당혹감으로 바뀌었다. 오후 2시 53분쯤 베트남 하노이 현지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기자회견이 예정보다 2시간 앞당겨졌으며, 양 정상 간 오찬 및 합의문 서명식이 불투명하다는 속보가 연달아 나왔다. 회담 결렬이 현실화 하는데도 청와대는 곧바로 입장을 내지 못하고 침묵했다.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성과를 전제로 평화ㆍ경제 번영을 위한 신(新)한반도체제 전환을 본격화 하겠다던 문 대통령의 구상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문 대통령은 3ㆍ1운동 및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인 3월 1일 신한반도체제 구상을 자세히 밝힐 예정이다.

이동현 기자 nani@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