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첨단 기술을 이용해 중국 내 자치구 가운데 독립성향이 가장 강한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주민 250만명을 사실상 실시간으로 감시해온 정황이 드러났다. 중국 정부는 이미 이 지역에서 강제수용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국제사회 비판에 직면해 있는데, 대규모 감시가 사실로 밝혀짐에 따라 논란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8일 네덜란드의 인터넷 보안 전문가인 빅터 게버스를 인용해 중국 광둥(廣東)성 선전(深圳)의 안면인식 기술 관련 정보기술(IT) 업체인 센스네츠(SenseNets)가 신장위구르자치구 주민 250여만명의 동선을 추적해온 데이터베이스(DB)가 인터넷상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7월부터 6개월 가량 인터넷에 노출된 해당 DB에는 주민 250여만명의 이름과 ID 주소, 생년월일, 위치정보 등이 기록돼 있다. 특히 위치정보는 이슬람 사원을 비롯해 이슬람교도들이 자주 모이는 곳을 중심으로 670여만곳이 체크됐던 것으로 드러나, 해당 지점들에 첨단 감시카메라가 설치됐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센스네츠는 중국의 여러 지역에서 공안당국과 협력 체제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센스네츠의 모기업인 넷포사(NetPosa)는 신장위구르자치구를 포함한 중국 대다수 지역에서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게버스 연구원은 노출된 DB를 분석해 센스네츠가 중국 전역에 설치한 첨단 기기를 통해 위구르족 주민들을 추적해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중국 정부가 첨단 IT업체를 활용해 이슬람교도를 비롯한 소수민족을 감시ㆍ탄압하고 있다는 서방 국가들의 비판이 사실로 확인됐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센스네츠 측은 해당 DB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자 별다른 해명 없이 보안 조치를 취했다.
그간 국제 인권단체들과 서방 국가들은 중국 정부가 위구르족을 비롯한 이슬람교도와 소수민족 100만여명을 대상으로 재교육 수용소를 운영하면서 엄격한 감시 활동을 하는 등 인권탄압을 하고 있다고 비판해왔다. 이 과정에서 중국 정부는 막대한 예산을 들여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얼굴인식 카메라, ‘비둘기 드론’ 등 첨단 감시 장비를 동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DB 노출로 인해 세계 최대 규모의 강제 수용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비판에 더욱 힘이 실리게 됐다.
중국 정부는 2009년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중심 도시인 우루무치(烏魯木齊)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동, 2013년과 2014년 연이어 일어난 이슬람교도의 테러 이후 이 지역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왔다. 2017년에는 신장위구르자치구가 일대일로(一帶一路ㆍ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의 핵심 거점이라며 테러리즘과 극단주의 척결을 내세워 다수의 강제 수용소를 설치하면서도 이를 인도적 직업교육센터라고 주장해왔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