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지평선] 일본의 핵(核) 기억력

입력
2019.01.25 18:00
수정
2019.01.29 13:50
26면
0 0

일본 후쿠오카 공항에 내리자 우리 외교부에서 “후쿠시마 원전주변 반경 30km 철수 권고”라는 문자가 날아들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8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그 주변은 위험하다는 얘기다. 후쿠시마 제1원전의 방사성 오염수를 보관하는 탱크에서 2년여 전부터 누수가 발생한 것을 최근에 발견했다는 보도도 나왔다. 사고 원전의 방사능을 원천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 핵과 관련해서 일본만큼 불행한 나라는 없다. 2차 세계대전 때 원자폭탄이 두 차례나 투하됐고, 원전 사고로 엄청난 재앙을 입었다.

□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에 처음 원자폭탄이 투하됐다. 왜 하필 히로시마였을까. 날씨 때문이었다. 원자폭탄 투하지점은 나가사키 고쿠라 니가타와 함께 4곳이 검토됐다. 이날 이들 도시 상공에 구름이 드리워져 있었다. 원자폭탄은 시야가 확보되어야 투하가 가능했다. 하지만 오전 7시부터 히로시마 상공 구름층이 흩어지자 이놀라 게이(Enola Gay)가 발진했다. 사흘 뒤에는 두 번째 폭탄이 나가사키에 떨어졌다. 당초 목표는 군수산업기지인 고쿠라였으나 구름이 잔뜩 끼어 니가타를 지나쳐 나가사키로 날아갔다.

□ 2차 대전 종식을 위해 원자폭탄 투하는 반드시 필요했던 것일까. 앞서 5월 8일 히틀러가 이끌던 독일이 항복함으로써 연합군의 입장에서는 싸움의 상대가 사라져버렸다. 이미 전쟁은 끝난 것이나 다름없었고 일본만 겨우 버티는 상황이었다. 얀 클라게의 저서 ‘날씨가 역사를 만든다’에 따르면 미국에는 여전히 힘의 과시가 필요했다. 2차 대전에서 원자폭탄을 사용해 볼 수 있는 나라는 일본밖에 없었다.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가한 과학자들 중 상당수는 원자폭탄을 인간이 살고 있는 지역에 투하하는 것에 반대했다.

□ 절충안도 제시됐다. 태평양상 무인도에서 원자폭탄 실험을 하면서 일본군 장성들을 초빙해 항복을 받아내자는 제안이었다. 미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구소련의 스탈린에게 폭탄의 위력을 과시해야 했다. 그 과정에서 일본이 최대 피해자가 됐다. 그랬던 일본이 최근 2차 대전 이후 최대 국방예산을 투입하면서 군사대국화를 꿈꾼다는 소식이 그리 반갑지 않다. 행여 침략의 역사를 잊은 건 아닌지 걱정이다. 한반도를 둘러싸고 군사적 긴장이 심화하는 것은 좋지 않은 징후다. 더욱이 우리는 북한 핵을 머리에 이고 살아간다.

조재우 논설위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