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읽고 빌리는 공간으로 한정됐던 공공도서관이 우리 삶에 밀착해 공동체의 소통과 교류, 체험의 장으로 거듭난다. 또 2023년까지 전국에 공공도서관 400여개가 신설된다.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와 문화체육관광부는 2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9~2023)’을 발표했다. 신기남 도서관정보정책위원장은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이전 계획들이 도서관의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질 향상에 집중돼 있었다면 이번에는 도서관의 역할과 가치를 새롭게 정립해 수요자 중심의 도서관으로 바꿔 나가겠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2017년 말 현재 1,042개인 공공도서관 수를 2023년까지 1,468개로 늘리고, 작은 도서관도 같은 기간 6,058개에서 6,820개로 더 짓기로 했다. 올해에만 약 54곳이 새로 문을 연다. 국민 1인당 장서 수도 2.03권에서 2.5권으로 늘릴 계획이다.
인프라 구축을 토대로 도서관 서비스 향상에도 힘을 쏟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해 인문ㆍ문화ㆍ예술 체험 프로그램과 소통ㆍ토론형 사회적 독서 프로그램을 늘린다. 전자책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하고, 도서관간 정보서비스 연계도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연구와 수요조사를 통해 맞춤형 추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도서관 데이터를 일반 대중과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빅데이터 공유센터(도서관 정보나루) 참여도서관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공동체 활동을 도모하는 서비스도 개발한다. 지역 주민의 문화교실, 독서활동, 회의, 강연 등 공동체 활동 공간을 확보하고, 휴식공간, 카페 등 삶과 밀접한 장소로 전환할 계획이다.
고령화나 다문화 사회로 이행되면서 발생하는 정보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마련했다. 정보불평등 지수를 개발해 활용하고, 정보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도 강화한다. 장애인, 군인, 환자, 수용자 등 특수환경 도서관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운영 환경도 점검해 개선할 방침이다. 또 장애인, 노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자 등이 도서관을 이용하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도서관 내 물리적 환경도 개선하기로 했다.
전자책 등 전자자료 이용이 크게 늘어나는데 따른 ‘스마트 도서관’ 시범사업도 실시한다. 모바일 디지털 서비스 강화, 도서관 인공지능 서비스 개발, 사물인터넷 기반 도서관 환경 구축 등을 통해 미래지향형 도서관 기반시설을 구축한다.
강지원 기자 styl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