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청년 10명 중 6명은 개인이 능력을 쌓고 노력해도 자신의 세대에선 ‘개천에서 용이 나는 신화’가 막을 내렸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재산에 따라 자녀의 경제ㆍ사회적 지위가 결정된다는 ‘수저계급론’이 유행한 지난 4년 사이에 청년층의 계층 이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약 15%포인트 증가했다. 청년세대에 이 같은 비관론이 확산될수록 사회 재생산(출산ㆍ육아 등)을 위협하는 등 사회발전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실린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에 따르면 청년들의 사회계층 이동성에 관한 부정적 인식은 2017년 61.5%로, 2013년(46.8%)보다 14.7%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2013, 2017년 실시한 사회조사 결과 가운데 부모가 있는 청년 약 1만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다. 구체적으로 2017년 자기 세대에서 경제ㆍ사회적 계층을 상향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낮다’는 응답은 15.2%로 2013년(9.7%)보다 5.5%포인트 증가했다. ‘비교적 낮다’는 응답도 46.3%로 5년 전(37.1%)보다 9.2%포인트 늘었다. 반면 계층이동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매우 높다’와 ‘비교적 높다’는 응답은 각각 3.7%포인트, 10.8%포인트 줄었다.
청년들은 부모의 경제적 자원을 계층상승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2017년 기준으로 부모의 소득이 월 100만원 미만인 청년층보다 400만~500만원 미만 가구의 청년은 3.09배, 500만~700만원 미만 가구의 청년은 3.15배 계층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인식했다. 주거형태도 영향을 미쳤다.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층보다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청년층은 자신의 계층 이동 가능성이 1.27배 높다고 기대했다.
반면 청년들이 취업을‘계층 이동 사다리’로 여기는 시대는 지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에 참여 중인 청년들의 계층 이동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취업을 안 한 청년보다 20% 낮았다. 노동시장에 진입한 사람이 오히려 계층 이동 가능성에 비관적이라는 얘기다. 연구를 맡은 이용관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경제수준이 낮은 집단일수록 계층 이동 가능성이 더 낮다고 느끼고 있는 것은 불평등이 확산되고 있다는 뜻”이라며 “청년층의 좌절은 본인 세대의 계층 이동 문제를 넘어 다음 세대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 발전 동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지현 기자 hyun1620@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