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1월 1일 25~30분 분량, 녹화 영상 송출 방식으로 발표
북미 비핵화 이견 보이는 상황 “대화의 끈 강조” 대체적 전망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월 1일 신년사를 통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에 주변국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틀 전인 3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 내용 등을 감안할 때 미국 등 국제사회와의 대화 유지 기조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비핵화 해법 이견에 대한 대미 불만을 제기할 것이란 관측도 동시에 나온다.
김 위원장은 취임 이후인 2013~2017년 매년 1월 1일 관영매체인 조선중앙TV 등을 통해 녹화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으로 육성 신년사를 발표했다. 방영 시각은 오전 9시 전후 또는 정오 무렵으로 해마다 차이를 보였으나, 분량은 25~30분 수준으로 비슷했다.
북한 최고지도자의 신년사는 한 해 국정 운영 및 대외 전략의 가늠자라는 측면에서, 대내뿐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가장 주목 받는 행사다. 특히 내년 신년사는 북미 간 비핵화ㆍ평화체제 협상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않고, 미국의 대화 재개 시그널에 북한이 침묵하는 상황에서 발표되는 것이라 더욱 주목을 끈다.
우선 김 위원장은 신년사를 통해 주변국 대화를 이어갈 것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다시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김 위원장이 신년사 발표를 이틀 앞둔 이날 문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서 ‘내년에도 자주 만나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위한 논의를 진척시키고 한반도 비핵화 문제도 함께 해결해 나갈 용의가 있다’고 밝힌 만큼, 긍정적 대남ㆍ대미 메시지가 신년사에 담길 가능성이 적지 않다. 미국이 인도적 지원을 위한 방북 허용 검토와 남북 철도 연결 착공식을 위한 제재 면제 동의 등 최근 대북 유화 제스처를 잇따라 보낸 것도 북한의 신년사에 영향을 줄 공산이 크다.
태영호 전 영국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도 이날 본인 블로그 ‘남북동행포럼’에 올린 글을 통해 “신년사에서 대화의 끈을 놓지 않겠다는 신호와 함께 올해 신년사에서 있었던 ‘핵 단추’ 같은 과격 표현은 자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기관지 조선신보 역시 19일 “판문점을 기점으로 하는 새로운 역사의 흐름이 역전되는 일은 없다”고 했다.
그러나 북미가 여전히 비핵화 해법을 두고 이견을 보이는 상황에서 긍정적인 메시지만 발신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있다. 한 국책연구기관 연구원은 “(내부 정치적 요인을 고려할 때) ‘지금처럼 행동하면 비핵화를 달성할 수 없다’는 식의 다소 위협적인 논조로 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신 남북관계는 한층 부각할 것으로 보인다. 4ㆍ27 판문점선언, 9월 평양공동선언 및 군사분야 합의서 등 올해 남북 간 결실을 상기하며 철저한 이행과 민족자주의 원칙을 당부하는 식일 가능성이 크다. 중국, 러시아 등 올해 관계 개선에 역점을 뒀던 국가와의 외교를 확대하겠다는 방침도 담길 수 있다.
2016년 제시한 경제발전 5개년 계획이 내년 4년차로 접어드는 만큼, 대내적으로는 경제 분야 성과를 촉구할 공산이 크다. 군사 분야의 변화를 예고할 수도 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북한이 (군사) 자원 배분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년사를 통해 군비 통제, 감군 계획 등을 공식화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신은별 기자 ebshin@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