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노동조합원 수가 처음으로 200만명을 돌파했다. 하지만 노조 조직률은 여전히 10%대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17년 전국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노조원 수는 208만8,500명으로 전년보다 12만1,600명(6.2%)이 증가했다. 2007년 이후 10만명 이상 증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같은 기간 노조가입이 금지된 5급 이상 공무원 등을 제외한 노조 조직대상 근로자 수 역시 39만3,000명(2.0%)이 늘어 1,956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노조 조직대상 근로자 수 대비 노조원 수 비율인 노조 조직률은 전년보다 0.4%포인트 증가해 10.7%를 기록했다. 이는 2008년(10.5%) 이후 가장 높은 수치지만, 경제협력기구(OECD) 회원국 중 노조 조직률 하위그룹을 면하기는 어려운 수치다. OECD 회원국 평균 노조 조직률은 26.4%(2013년 기준)다. 노조 조직률은 1989년 19.8%를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다가 2010년에는 9.8%까지 떨어졌다. 2011년 복수노조 허용 등의 영향으로 10%대를 회복해 서서히 증가했으나 아직 1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상급단체별 조직현황을 보면 한국노총 소속이 87만2,923명(41.8%), 민주노총 소속이 71만1,143명(34.0%)으로 집계됐다. 상급단체에 소속되지 않은 미가맹 노조의 조합원 수는 44만6,612명(21.4%)이고, 이어서 전국노총 3만2,771명(1.6%), 공공노총 2만5,091명(1.2%) 순이었다. 올해 양대노총이 공격적으로 조직을 확대한 것을 감안하면 현재 노조원 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사업장 규모별 조직률을 보면 300명 이상 근로자가 일하는 사업장은 57.3%에 달한 반면 100~299명 사업장은 14.9%, 30~99명 3.5%, 30명 미만 0.2% 등 중ㆍ소규모 사업장에서는 급격히 조직률이 떨어졌다. 노조 조직이 대기업에 편중된 현상을 보여준다.
부문별로 본 조직률은 민간부문 9.5%, 교원부문 1.5%, 공무원 부문 68.5%였다. 전체 노조 수는 6,239개소로 전년보다 75개소(1.2%) 늘었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