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5년여 만에 60% 밑으로 떨어졌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올해 들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데 9ㆍ13 대책 발표 이전엔 매매가 급등, 이후에는 전셋값 하락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2일 국민은행의 부동산 플랫폼 ‘KB부동산 리브온’이 발표한 11월 주택가격 월간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59.6%를 기록했다. 이 수치가 60%를 밑돈 것은 2013년 9월(59.1%) 이후 5년 2개월 만이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2013년 10월(60.1%) 60%대로 올라선 이후 2016년 5월 역대 최고인 75%까지 올랐다. 이 시기에 주택시장 부양을 위한 각종 규제 완화가 이뤄졌지만 주택공급 부족으로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더 많이 뛰면서 전세가율이 치솟았다.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던 전세가율은 올해 1월(69.3%) 60%로 내려온 뒤 가파르게 하락했다. 9월 이전엔 아파트 공급물량 증가로 전셋값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반면 매매가격은 이상과열로 급등한 것이 전세가율 하락 요인이었다. 9ㆍ13 대책 발표 이후엔 전셋값 하락 속도가 매맷값보다 빨라 전세가율을 떨어뜨렸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최근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셋값은 그보다 앞서 6주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구별로는 강남구의 전세가율이 48.7%로 가장 낮았고 용산구(49.2%)가 뒤를 이었다. 이달 말 9,500여 가구 규모의 헬리오시티 입주를 앞두고 전셋값 하락폭이 커지고 있는 송파구는 전월 대비 0.3%포인트 하락한 50.0%를 기록했다. 강북 지역도 중랑구(71.6%)가 전월 대비 1.2%포인트, 성동구(68.4%)가 1.4%포인트, 도봉구(64.6%)가 1.1%포인트, 노원구(61.6%)가 0.7%포인트 각각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전세가율 하락이 전세를 끼고 주택을 매입하는 갭투자 수요를 누그러뜨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일부 지역에선 전셋값 하락으로 세입자가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난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실제 입주 물량이 많은 경남·충남 등에선 역전세난으로 인해 세입자 피해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박원갑 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전문위원은 “대출 규제가 강화된 상황에서 전세가율 하락, 금리 인상 등으로 한동안 매매 거래 공백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입주 증가 등으로 전셋값이 계속 하락할 걸로 예상되는 곳에선 전세보증금반환 보증 가입 등 안전장치를 마련해 두는 게 좋다”고 말했다.
정재호 기자 next88@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