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 분석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2021년까지 최대 47만6,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소득 격차는 2.51% 더 확대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경연은 14일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과 소득 재분배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지금처럼 최저임금 인상 속도가 빠르면, 고용이 악화하고 소득 격차는 더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보고서는 법정 최저임금이 내년에 8,350원, 2020년 9,185원, 2021년 1만원으로 인상될 것으로 가정했다. 정부 공약대로 2020년 1만원 달성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본 것이다.
보고서는 주휴시간(실제 일하지 않은 시간을 포함해 유급 처리되는 시간)을 최저임금 계산에 포함하는 경우와 단계적으로 제외하는 경우 등 2가지 시나리오로 고용 및 소득 불평등의 변화를 추산했다.
먼저 현재처럼 내년부터 산입 범위를 확대하지만 주휴시간까지 최저임금을 적용할 경우 실질적인 시간당 최저임금은 2019년 9,842원, 2020년 1만761원, 2021년 1만1,658원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이럴 경우 일자리는 올해 6만8,000개, 2019년에 9만8,000개, 2020년에 15만6,000개, 2021년에 15만3,000개씩 각각 감소해 4년간 총 47만6,000개의 일자리가 감소한다고 보고서는 예상했다.
또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과 저소득층 일자리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해 지니계수는 1.23% 증가하고 소득 5분위 배분율은 2.51% 증가해 소득재분배가 악화하고 소득 격차가 확대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또 다른 시나리오로 주휴시간을 내년부터 3분의 1씩 단계적으로 최저임금의 기준시간에서 제외할 경우 실질적인 시간당 최저임금은 2019년 9,282원, 2020년 9,529원, 2021년 9,647원이 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렇게 되면 일자리 감소분이 2019년 5만5,000개, 2020년 7만4,000개, 2021년 4만9,000개 감소해 총 24만6,000개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또 지니계수는 0.69% 증가하고, 5분위 배율은 1.38% 늘어날 것으로 보고서는 추산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특성이나 최저임금 대상자의 구성, 노동시장의 구조 등을 고려할 때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소득 불평등 확대는 당연한 결과라고 주장했다. 근로자의 54.2%가 50인 이하 중소ㆍ영세 사업체에 편중돼 있고, 대부분의 최저임금 대상자가 여기에서 일하고 있어 최저임금 인상으로 영세사업자와 저임금 근로자가 주로 피해를 보는 구조라는 것이다.
보고서는 최저임금을 단계적으로 실제 일한 시간인 174시간에만 적용하고 업종ㆍ지역별로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용식 기자 jawohl@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