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한 정규직 전환 정책에도 불구하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1년 새 3만6,000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가 정규직 전환 드라이브를 걸었던 공공 부문에서도 비정규직이 1만명 이상 늘어났다. 노인층에 질 낮은 단기 일자리를 양산한 결과로 풀이된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8월 임금근로자는 2,004만5,000명으로 지난해 8월 대비 3만9,000명 증가했다. 이 중 정규직 근로자는 1,343만1,000명으로 3,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해 반해 비정규직 근로자는 661만4,000명으로 3만6,000명이 증가했다. 늘어난 일자리 10개 중 9개(92.3%)가 비정규직 자리였던 셈이다. 이에 따라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33.0%로 2012년 8월 조사에서 33.2%를 기록한 이후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8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한시적 근로자 382만3,000명 △시간제 근로자 270만9,000명 △파견ㆍ용역 등 비전형 근로자 207만1,000명 등이다. 유형별로 중복되는 경우가 포함돼 단순 합계는 비정규직 근로자 전체 수보다 크다. 이 중 1년 새 가장 많이 늘어난 비정규직은 한시적 근로자로, 9만8,000명이 증가했다.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기간이 정해진 기간제 근로와, 계약을 반복 갱신해야 하는 비기간제 근로를 뜻한다. 같은 직장에서 동일한 업무를 하는 통상 근로자보다 더 짧은 시간 일하며 주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270만9,000명)도 4만5,000명이 증가했다.
비정규직은 주로 여성과 60세 이상 계층에서 늘었다. 여성 비정규직(367만8,000명)은 4만7,000명 늘었지만, 남성(293만6,000명)은 1만명 감소했다. 연령계층별로는 고령층의 비정규직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60세 이상(164만9,000명)이 12만6,000명이나 늘어 전연령대에서 증가폭이 가장 컸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비정규직 근로자가 65세 이상에는 8만명 가량 늘었다”고 말했다.
산업별로 정부가 정규직 전환을 추진한 공공 부문이나 공공 일자리를 늘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비정규직이 증가했다.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업에서 비정규직이 1만3,000명 증가했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도 11만8,000명이나 늘었다. 노년 층을 중심으로 질 낮은 단기일자리가 공공분야에서 늘어 비정규직이 늘어난 셈이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6~8월 3개월간 월평균 임금은 164만4,000원으로 조사됐다. 여전히 정규직(300만9,000원)의 절반 수준에 그쳤고, 임금 격차는 전년 128만2,000원보다 8만원이 늘었다.
세종=이현주 기자 memory@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