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전당대회를 치를 자유한국당이 차기 지도체제를 놓고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내부 기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당대표가 전권을 갖는 단일지도체제로 갈지, 당대표와 최고위원이 합의해 당무를 결정하는 집단지도체제로 갈지가 관건이다.
한국당 인적쇄신 작업을 주도하는 조직강화특별위원회 전원책 변호사는 23일 “보수대통합과 단일대오를 강조하는 상황에서 집단지도체제로는 어렵지 않겠느냐”며 “문재인 정권의 폭주에 제동을 걸려면 당에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당연한 얘기를 하는 것”이라고 한국일보에 밝혔다. 당 대표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집중된 현행 단일성 지도체제(대표와 최고위원 분리 선출)를 유지하는 게 위기상황에 놓인 당의 현실에 적합하다는 얘기다. 다만, 그는 “조강특위 외부인인 제가 감놔라, 배놔라할 건 아니고, 사견일 뿐”이라고 했다.
그러나 이런 견해는 당 지도부 인사의 입장과 결이 사뭇 다르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당 구성원의 입장에서 보수대통합을 위해 여러 사람이 입당하게 하려면 집단지도체제가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지도체제와 지도부 선출방법 등 개정작업은 당헌ㆍ당규개정위원회가 총의를 모아 정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집단지도체제는 선거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구분 없이 순위대로 뽑는 것으로, 합의(의결)를 강조하면서 주요 의사결정을 하는 방식이다.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가 되지 못해도 최고위원이 되어 지도부에 입성할 수 있어 원내 지지기반이 약한 인사에게 유리하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전 변호사 발언을 두고 “본인이 지도체제에 대해 권한이나 결정권이 있다면 그렇게 이야기를 안 했을 것”이라며 논란 확산을 경계했을 뿐, 어느 쪽을 선호하는지 지도체제의 방향에는 말을 아꼈다.
전당대회 출사표를 만지작거리는 현역 의원이나 당밖 유력 보수인사들의 지도체제 관련 인식도 확연히 갈린다. 당 대표 출마를 준비 중인 친박(근혜)계 한 중진 의원은 “독주했던 홍준표 시절의 기억은 분명하지 않느냐”면서 “지도체제는 절충형으로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으로 “합의가 아닌 (단일성 지도체제의) 협의제로 하되, 2위 득점자부터 최고위원이 되는 방식이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국당 지도부와 접촉해온 오세훈 전 서울시장 측은 “야당이 강한 힘을 가지려면 단일성 (지도)체제가 더 맞다”며 “(우리는) 당내 지지 세력도 없어 실리로는 집단지도체제를 선호할 수 있지만 출마나 당선여부를 떠나 당의 상황을 고려하면 그렇다”고 말했다. 당권을 노리는 일부 중진 의원들 사이에선 자신의 입지에 따라 두 지도체제의 선호가 크게 다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당 정당개혁위원회가 이달 8일 공개한 당원 1,000명 설문조사 결과는 64%가 당 대표 권한을 축소하는 집단지도체제 복원에 동의했다.
손현성 기자 hsh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