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섬지역에서 수거하지 못한 채 방치된 양이 8만7,000여톤에 달해 수거위주 정책보다는 유입을 억제하는 예방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6일 전남도가 해양쓰레기 전문 연구기관인‘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에 의뢰한 전남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 용역 결과에 따르면 도내 해양쓰레기는 총 8만7,482톤으로 추정된다. 이중 양식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가 5만9,975톤으로 68%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유인도 1만5,795톤, 해역 5,222톤, 무인도 4,120톤, 육지부 1,455톤, 항만 620톤, 부유량 295톤 등이다.
전남지역 바다로 유입되는 쓰레기 발생량은 최소 1만7,915톤에서 최대 3만5,510톤으로 연평균 2만6,713톤으로 추정됐다. 또 해상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는 1만3,694톤, 외국에서 들어오는 쓰레기는 1만2,540톤, 육상에서 유입되는 쓰레기는 479톤 등이다.
이에 따라 도는 연간 2만2,280톤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지만 발생량과 비교할 때 매년 4,000여톤의 쓰레기를 치우지 못하고 있다. 수거하지 못한 해양쓰레기가 계속 늘어나면 잔존 쓰레기양도 증가할 것으로 우려됐다. 이 같은 결과는 다른 지역과 달리 양식어업이 발달한 서남해안 특성과 섬이 많은 지역인점도 작용됐다.
해양쓰레기 수거 비용은 국비 50%ㆍ지방비 50%로 충당하고 있으나 지자체 재정 형편상 국비를 70%로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송원석 전남도 수산과장은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 때문에 역부족인 상황으로, 처리비용에 대한 국비지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며 “바다는 국가의 자산인 만큼 쾌적하고 안전하며 생산적인 바다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경우 기자 gw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