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저가항공사들이 객실 내 결함을 발견하고도 정비를 하지 않고 상당 부분 방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에어의 경우 정비를 미루는 정비이월율이 90%를 넘었다. 객실 결함에는 산소공급 장치와 탈출용 미끄럼틀, 안전벨트 등 위급상황에 쓰이는 안전장비도 포함된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용호 의원(무소속)이 10일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 받은 ‘2015~2017년 항공사별 객실결함 정비이월 현황’에 따르면, 정비이월율이 가장 높은 항공사는 진에어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진에어의 정비이월률은 90.5%로, 1,477건 중 1,336건의 정비를 미뤘다. 두 번째로 이월률이 높은 회사는 에어부산으로 77.8%였다. 결함 685건 중 533건을 이월했다. 진에어와 에어부산은 각각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운영하는 저가항공사다.
다음으로 이스타항공(이월률 73.7%, 결함 1,389건 중 1,023건 이월), 에어서울(47.7%, 111건 중 53건), 아시아나(44.3%, 6,519건 중 2,889건), 티웨이항공(31%, 3,486건 중 1,082건) 순이었다.
정비 이월 건수가 가장 많은 곳은 대한항공으로 조사됐다. 대한항공은 3년간 결함 30만5,681건 중 6,912건을 이월했다. 다른 항공사의 결함 건수와 이월 건수가 각각 1만건, 3,000건 이하인 것을 고려하면, 대한항공의 결함 건수가 압도적으로 높은 셈이다. 다만 정비이월률은 2.3%로, 월등히 낮았다.
대한항공과 함께 제주항공도 정비이월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렀다. 제주항공은 3.6%로, 8,948건 중 321건만 이월해 저가항공사 중 객실 정비 실적이 가장 뛰어났다.
항공사별 객실 정비인력은 10월 기준으로 대한항공이 323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아시아나(109명)와 제주항공(37명), 티웨이(13명), 에어부산(7명), 이스타항공(5명) 순이었다. 진에어와 에어서울은 자체인력 없이 각각 대한항공, 아시아나에 위탁하고 있다.
이 의원은 “항공기 객실 정비는 안전과 깊이 연관된 만큼 결코 소홀해서는 안 된다”며 “국토부는 조속히 각 항공사 안전실태를 전수조사 하고, 안전 마일리지 제도 도입을 포함해 항공안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류호 기자 h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