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경제매체들에선 공유경제의 ‘성장통’을 지적하는 기사가 자주 등장한다. 우후죽순 생겨나던 업체들이 잇따라 파산하면서 실질적인 구조조정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공유자전거 업계만 해도 모바이크ㆍ오포와 어깨를 겨루던 블루고고, 남부의 유력업체 샤오밍(小鳴) 등이 지난달에 잇따라 파산했다. 무리한 해외진출과 적자 누적에 따른 자금난이 이유였다.
한편 베이징(北京)시정부는 지난 8월부터 도심 전역에 흩어져 있는 공유자전거 수를 20% 이상 줄였다. 각 업체들에 수거를 지시한 뒤 이에 따르지 않을 경우 강제집행했다. 단기간에 자전거 보급대수를 늘려놓고 이를 명분으로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뒤엔 이를 방치하는 경우가 많아서다. 유휴자원을 활용해 모든 경제 주체가 이익을 본다는 장밋빛 전망은 사그라들고 대신 중개 플랫폼만 이익을 챙기는 셈이다.
사실 중국은 공유경제의 후발주자다. 미국과 유럽에선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물건ㆍ공간ㆍ서비스를 빌리고 나눠쓰는 새로운 사회적 경제 모델로 자리를 잡은 데 비해 중국은 2016년 초 정부업무보고에서 처음 언급됐다. 대신 정부가 이를 주도하자 대규모 자본이 몰려들면서 단기간에 자전거ㆍ세탁기ㆍ휴대폰 배터리ㆍ우산ㆍ농구공ㆍ고가의 사치품ㆍ헬스기구ㆍ자동차ㆍ숙박시설 등 다양한 모델이 만들어졌다. 국제회계법인 PwC는 2013년 150억달러(약 16조9,600억원)였던 전 세계 공유경제 시장규모가 2025년이면 3,350억달러(약 378조7,200억원)까지 늘어나고, 중국의 비중이 30%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급격한 성장과정에서 심각한 문제점도 드러났다. 무엇보다 공유경제의 이익이 특정 집단에게 집중된다. 사실상 단기렌트 형식이다 보니 선발주자들이 막대한 수수료 이익을 챙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대규모 투자를 끌어들여 단기간에 외형을 키운 뒤엔 ‘돈놀이’에만 몰두하는 경우도 많다. 업체 난립으로 약육강식의 먹이사슬이 형성되면서 저소득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잃는 일도 다반사다.
신뢰 문제도 심각하다. 도난이나 훼손 때문에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실제 지난해 8월 상하이(上海)의 한 우산 공유업체는 한달만에 30만개의 우산을 잃었고, 10여개 대도시에서 활발하게 영업해온 한 헬스기구 공유업체도 지난 5월 수리비용을 감당할 수 없다며 사업을 접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공유경제가 지속되려면 문화적ㆍ도덕적 각성이 필요하다”고 개탄했다.
이런 가운데 블록체인 시스템과의 접목을 통해 공유경제의 본질적인 문제를 해결하자는 주장이 주목을 끌고 있다. 수많은 참여자의 정보 공유로 신뢰의 문제는 물론 철저한 보안과 민주적 운영, 참여자 모두의 이익까지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차이신(財新)망은 “공유경제의 개념은 이상적이고 미래지향적이지만 공급 과잉과 독과점, 성장세 둔화 등으로 당분간 구조조정 등 성장통을 겪을 것”이라며 “블록체인과의 유기적인 결합은 단기렌트 위주인 현재의 사업모델을 실질적인 공유모델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