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권 연체율도 일제히 상승
LTV 60% 초과 주택대출 3분의1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취약층이 주로 이용하는 2금융권과 저소득ㆍ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민금융 대출상품의 연체율이 치솟고 있다. 실물경기 둔화로 벌이는 시원찮은데 시장금리 상승으로 빚 부담은 늘면서 제때 대출이자를 갚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1,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의 가장 약한 고리인 취약층의 부실화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태규 바른미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들어 정부가 운영하는 서민금융상품의 연체액이 급증하는 추세다. 서민금융진흥원의 보증을 기반으로 금융권이 저신용자에게 빌려주는 햇살론은 2016년 말 평균 2.19%였던 연체율(대위변제율)이 올해 7월 말 8.1%로 3.7배 급증했다. 은행에 비해 저신용 대출자가 많은 저축은행의 연체율(상반기 4.8%)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이다.
햇살론의 높은 연체율은 취약층의 빚 부담이 그만큼 크다는 걸 의미한다. 실제 차주가 대출을 상환하지 못해 서민금융진흥원이 대신 갚아준 건수(누적 기준)는 2016년 5,201건에서 지난해 말 3만2,825건으로 늘더니 올해 7월엔 6만684건으로 배 가까이 급증했다. 저신용자일수록 연체율이 급증했다. 2016년 말 신용 8등급 차주의 연체율은 6.01%였는데 올해 들어선 19.85%로 3.3배 급증했다.
대부업체 연체율도 뛰고 있다. 2016년 말 4.8%였던 대부업체 연체율은 올해 7월 말엔 6.3%로 1.5%포인트 커졌다. 특히 대부업 연체자 중에서도 60대 이상 남성 노인과 30세 미만 청년층의 연체율 상승이 두드러진다. 60세 이상 남성의 대부업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말 6.2%에서 올해 7월 9.8%로 3.6%포인트 급등했다. 60대 남성 노인 10명 중 1명은 빚을 제때 못 갚고 있는 셈이다. 19세 이상 30세 미만 남성의 연체율은 8.4%로 그 뒤를 이었다. 취업준비생을 포함한 30세 미만 청년층과 경제활동이 거의 없는 60대 이상 은퇴 노년층이 다른 계층에 비해 심각한 경제적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업권별로는 1금융권에 견줘 2금융권 연체율 오름폭이 더 크다. 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6월과 올해 6월 0.25%로 같지만 같은 기간 보험은 0.49%에서 0.54%로, 상호금융은 1.38%에서 1.42%로 올랐다. 상대적으로 저신용자들이 집중되는 저축은행은 4.34%에서 4.8%로, 여신전문금융사는 3.33%에서 3.62%로 뛰었다.
한국은행이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취약층은 물론 주택담보대출 차주 역시 상당한 타격을 받을 걸로 보인다. 현재 차주가 집값의 60% 넘게(LTV 60% 초과) 빌린 은행권 주택대출 규모는 전체의 3분의 1 수준인 153조원으로 추산된다. 정부는 신규 대출을 억제하는 차원에서 이달 중순 가계대출 규제의 최종판인 총체적상환능력(DSR) 규제 방안을 내놓고 내달부터 곧바로 시중은행부터 시행에 들어갈 예정이다.
김동욱 기자 kdw1280@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