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G) 이동통신 상용화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이르면 오는 12월 5G 전파가 생활 영역에 들어온다. 정부와 통신사가 목표로 잡은 내년 3월 세계 최초 상용화 시점엔 5G 스마트폰도 등장한다.
5G는 4세대 이동통신(LTE)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20배 이상 빠르다. 기존 이동통신이 개인과 개인의 연결을 가속시켰다면, 5G는 개인과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초(超)연결 시대다. 인간의 삶과 사회 구조를 바꿀 수 있는 파괴력을 지녔지만, 당분간은 LTE를 주로 사용하면서 점진적인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상용화를 한다 해도 당장 어떤 콘텐츠가 수익을 낼 수 있을지도 점치기 힘든 상황이다. 막대한 투자를 통해 5G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하는 통신사들의 고민도 커지고 있다.
◇본격화하는 5G 네트워크 구축
삼성전자는 지난달 28일 3.5㎓ 주파수 대역 기지국 장비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전파인증을 마쳤다. 국내에 설치될 5G 장비로서는 첫 인증이다. 전파인증은 기지국 장비 설치나 모바일 단말기 개통 전 반드시 거쳐야 하는 절차다.
삼성전자는 에릭슨, 노키아와 함께 SK텔레콤의 5G 장비 공급사로 선정돼 곧 네트워크 구축에 들어갈 예정이다. 통신사들이 우선 준비하는 주파수 대역이 3.5㎓인데, 삼성전자는 28㎓ 대역도 계획이 구체화되면 전파인증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도 이달 2일 5G 장비 전파인증을 신청했다. 인증 절차 돌입은 5G 장비를 국내 에 공급할 단계에 도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보안 안전성은 장비를 사용할 통신사들이 자체적으로 검사해야 한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산ㆍ학ㆍ연 전문가들로 구성한 5G 보안기술자문협의회를 통해 기술 자문과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 5G 상용화 로드맵 상 전파인증은 이달 말 완료가 목표다. 5G 주파수가 사용되는 12월 이전에는 장비에 대한 전파인증과 구축은 물론이고 단말 인증까지 마무리돼야 한다.
장비 준비가 끝나도 통신사들의 5G 네트워크는 서울 등 수도권 일부 지역에만 우선 깔린다. 5G 주파수는 도달거리가 짧은데다 기지국당 커버리지가 좁은 28㎓와 3.5㎓의 초고주파 대역이라 LTE망 대비 약 4.3배 이상 많은 기지국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국망 구축은 2020년이나 돼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 확실한가
5G 상용화는 우리뿐 아니라 주요 국가들의 공통된 목표다. 중국은 내년 하반기 베이징 등 16개 도시에서 5G 시범서비스를 준비 중이고,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과 연계해 상용화를 추진한다. 유럽 국가들도 대부분 2020년 5G 상용화 일정을 잡았지만 미국 계획은 이보다 빠르다.
무선통신 가입자 1억1,600만명을 보유한 미국 최대 통신사 버라이즌은 이달에 5G CPE(개인형고정형단말기)를 활용한 FWA(고정형무선엑세스) 시범사업을 휴스턴 등에서 시작한다. 유선 대신 무선으로 각 가정에 초고속 인터넷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삼성전자가 버라이즌에 관련 장비를 공급한다.
무선 가입자가 1억명이 넘는 미국 2위 통신사 AT&T도 올해 안에 5G 라우터(제한된 공간에서 네트워크 중계장치)를 활용한 5G 상용화에 도전한다.
버라이즌과 AT&T가 연내 서비스에 성공해도 세계 최초 5G 상용화 타이틀을 가져가지는 못한다는 게 우리 정부의 판단이다. 이유는 5G의 핵심인 이동성(Mobility) 부족이다.
이동 중에도 자유롭게 이동통신을 이용할 수 있는 ‘핸드오버(Hand Over)’는 5G 모바일 라우터(동글)부터 가능하다. 5G 주파수를 쏘는 오는 12월 1일에 맞춰 꼭 스마트폰이 아니더라도 국내 통신사가 5G 모바일 라우터 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상용화로 볼 수 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입장이다. 최우혁 과기정통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은 지난 2일 언론 간담회에서 “LTE 세계 최초 상용화 때도 모바일 라우터가 기준이었다”고 설명했다.
◇어떤 콘텐츠가 뜰 것인가
통신업계는 최초 상용화 타이틀도 중요하지만 5G로 수익을 낼 수 있는 ‘킬러 콘텐츠’를 찾는 것도 큰 과제다. 5G 네트워크 구축에 20조원 이상이 필요하다는 추정이 나오는데, 수익 없이 투자만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정부는 5G 수익모델 발굴을 지원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863억원을 들여 융합서비스 실증사업을 추진한다. 크게 스마트공장, 자율주행차, 실감미디어, 스마트시티, 재난안전의 5대 분야다. 통신사를 포함한 재계 전반에서 고려하는 것도 이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아직 5G 통신요금 약관 신고 및 인가 전이라 어느 것도 구체적인 수익성을 추산하기가 어렵다는 게 문제다.
전성배 과기정통부 기획조정실장은 “혁신하고 경쟁해 이익을 창출하는 것은 기업이 해야 할 부분이고, 기업들이 노력하는 과정에서 지금은 생각하지 못한 다양한 성장 분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통신사들은 공통적으로 자율주행차, 드론,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을 저마다 찔러보고 있지만 수익성을 확신할 수 있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추진하다 보니 벤치마킹 대상이나 검증할 만한 사업 모델이 없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다양한 5G 서비스를 검토하고 있지만, 아직 외부에 내놓을 수준은 아니다”고 밝혔다.
김창훈 기자 ch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