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메아리] 중재자와 대변인 사이

입력
2018.10.05 15:11
26면
0 0

‘수석 협상가’ 문재인의 중재와 인도로

평양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교착 해소

‘김정은 대변인’ 지적에 안전 운전해야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뉴욕 한미 정상회담 이후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 뉴욕=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4일 뉴욕 한미 정상회담 이후 취재진을 만나고 있다. 뉴욕=연합뉴스

9월19일 평양에서 진행되던 3차 남북 정상회담의 생중계를 지켜보다가 순간적으로 잡힌 장면에 눈길이 멈췄다. 70분 가량의 회담을 마치고 나오는 문재인 대통령의 표정에 낭패감 같은 게 묻어있었다. 청와대에서 전날까지 ‘합의문이 나올지 블랭크(빈칸)’라고 했던 터라 ‘합의에 실패했구나’하는 예감이 머리를 스쳐갔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어본 결과는 한반도 평화의 분수령이 될만한 역사적 합의를 담은 평양 공동선언이었다. 그렇다면 문 대통령의 표정은 왜 그리 어두웠던 것일까. 최근 만난 외교안보 전문가의 설명이 그럴 듯했다.

“우리 공화국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많이 과장돼 있습니다. 하나 만들어 쏘고 또 하나 만들어 쏘는 정도지, 쟁여놓고 쏠 형편이 못됩니다. 기껏해야 한 두 개 있는데 미국은 거짓말이라고 합니다. 핵무기도 마찬가지입니다. 우리가 가진 건 20개 남짓인데 미국은 60개로 확인된 핵무기를 내놓으라니 환장할 노릇입니다.” 김정은 위원장의 고백에 귀를 기울이던 문 대통령은 깊은 고민에 빠졌고, 그 흔적이 생중계 화면에 고스란히 묻어났다 게 전문가의 설명이었다. 핵신고-사찰(검증)-폐기의 프로세스를 고집하는 미국 정부와의 과거 비핵화 협상이 번번이 틀어졌던 이유 또한 저 인식의 격차, 근본적으로는 신뢰의 결여 때문이었다는 건 사실 외교가의 정설이다.

확인할 수 없는 전문가의 추론에 불과하지만 흥미롭게도 이후 전개 상황은 저 추론의 역(逆)검증을 연상시킨다. 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추석 연휴 정상회담 이후 미국이 보인 입장 변화가 단서였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입을 통해 “특정한 시설과 무기 시스템에 대한 대화가 진행 중”이라는 말이 나왔는데, 신고에 앞선 폐기 논의는 미국의 일관된 3단(신고-사찰-폐기) 프로세스에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진전이었다. 이어 조명균 통일부 장관의 ‘북한 20~60개의 핵 보유’발언과 ‘핵 신고를 미루는 새로운 접근법을 미국에 제안했다’는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실토가 나왔다. ‘신고 대 종전선언’이던 북미 간 교착 국면이 ‘종전선언 대 영변 핵 폐기’로 급변침하는 과정을 문 대통령의 평양 고민과 연결하면 아귀가 딱 맞아 떨어진다.

트럼프 대통령이 문재인 정부의 과감한 빅딜 제안을 수용했는지는 아직 확실치 않다. 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고민을 듣고 ‘융통성을 발휘한 아이디어’ 차원에서 저런 제안을 했다는 것도 단지 추론에 불과하다. 하지만 평양 정상회담 이후 미국이 비핵화 협상에 복귀함으로써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맡긴 ‘수석 협상가’의 임무를 제대로 수행한 것만은 분명하다. 문 대통령은 미국 조야에 만연한 우려를 해소하겠다며 대표적 보수 언론인 폭스뉴스까지 상대했고, 중재자의 외연과 보폭을 넓히는 행보로 ‘지역안정의 키 리더’라는 언론의 호평까지 이끌어 냈다.

물론 아직 가야 할 길이 더 멀다. 김 위원장의 올해 신년사를 기점으로 한반도에 평화 무드가 번지고 있지만 여전히 살얼음판이다. 종전선언과 핵 신고 국면을 넘으면 제재 완화의 난제가 기다리는 ‘네버엔딩 게임’이나 다름없다. 트럼프 대통령의 불안한 리더십과 북한 정권의 반복적이고 변덕스러운 ‘핵 게임’ 전력을 감안하면 북미 정상이 협상판을 파투내지 않도록 관리해온 문 대통령의 분투가 기적에 가까울 따름이다.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의 구체적 합의를 도출한다면 한반도 평화 협상은 한 고비를 넘기게 된다. 하지만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이나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까지 우여곡절이 심했던 터라 문 대통령 입장에서는 방심할 수 없다. ‘시간게임(time game)’을 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속내를 꿰뚫어야 하고 미국의 주류 회의론자들을 돌파해야 한다. 그렇다고 개혁개방을 위한 제재완화에 목맨 김 위원장에게 연민을 느낀다면 ‘김정은의 대변인’이라는 비난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다. 한미동맹과 남북관계가 서로 추월하거나 과속하지 않도록 역사의 운전대를 단단히 잡을 필요가 있다.

김정곤 논설위원 jkkim@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