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방침에 다른 의견을 개진해도 개인에게 불이익은 없을까. 국내 직장인 4명 중 3명은 징계나 보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상명하복식 의사결정구조가 공고함을 보여주는 결과다.
30일 회사별 익명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앱) ‘블라인드’ 운영회사인 팀블라인드가 김희원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교수와 함께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회사에는 표현의 자유가 없다’고 답한 직장인은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46%에 달했다. 특히 응답자 75%는 회사 방침에 다른 의견을 낼 경우 징계나 보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직장 내 표현의 자유가 그만큼 제한돼 있다는 얘기다. 블라인드 앱을 통해 진행된 이번 연구는 306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와 21명과의 추가 인터뷰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권력과 의사결정권은 상사에 집중돼 있었다. 상사의 승인 없이는 거의 일을 진행할 수 없다는 데 응답자의 56%가 ‘그렇다’고 답했다. 또 60%가 승인 없이 스스로 판단해서 결정을 내리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고 했다.
김 교수 등은 이 같은 문화가 기업 생산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조직 몰입도 측정에서 조직에 정서적 애착과 소속감을 느끼고 자신이 원해서 근무하는 정서형 몰입도를 측정한 결과 4점 만점에 2.6점에 그쳤다. ‘회사에 강한 소속감을 느낀다’(10%) ‘회사에 정서적 애착이 있다’(9%) 등의 문항에 ‘매우 그렇다’고 답한 이들은 10명 중 1명 수준에 불과했다.
성별 격차도 두드러졌다. ‘우리 회사에는 표현의 자유가 있다’는 조사 항목에서 남성은 58%가 긍정적으로 답한 반면 여성은 61%가 ‘그렇지 않다’는 의견을 밝혔다. 또 여성의 69%가 상사 승인 없이는 거의 일을 진행할 수 없다고 답해 남성(53%)보다 16%포인트 높았다. 김 교수는 “많은 직장인들이 경직된 사내 문화로 사기가 떨어지고 일할 의욕이 나지 않는다고 토로하기도 했다”며 “사내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가능한 조직 문화를 만들기 위해 기업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진달래 기자 aza@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