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정상이 평양회담에서 2032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국제 스포츠계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강원도가 야심 차게 추진했던 2021년 동계아시안게임 공동유치가 후순위로 밀리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트위터를 통해 관심을 드러낸 남북의 2032년 하계올림픽 유치에 가려져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 개최 도전은 전혀 이슈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
강원도는 자체적으로 아시안게임 유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지만 여론의 힘을 받기가 쉽지 않아졌다.
동계아시안게임 남북 공동개최는 이른바 포스트 평창 전략 가운데 하나다.
최문순 강원지사는 평창올림픽이 한창이던 지난 2월 이후 공식 석상과 기자회견 자리에서 아시안게임 공동 개최 의지를 수 차례 강조했다. 평창과 강릉, 정선 등지 올림픽 경기장을 활용하고 북강원도 원산 마식령 스키장에서 경기를 열겠다는 구체적인 복안도 밝혔다. “개회식은 남측에서, 폐회식은 북강원도에서 열어 세계 유일한 분단도인 강원도를 평화의 중심지로 자리매김 시키겠다”는 게 최 지사의 생각이다.
강원도는 지난 4월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쉐이크 알사바 회장의 지원 답변도 이끌어내 뜻대로 진행되는 듯 했다.
그러나 정부는 동계아시안게임이 올림픽에 비해 대회 인지도와 관심이 저조할 수 밖에 없어 타당성과 경제성에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때문에 동계아시안게임 조직위 설립, 운영 등을 위한 내년 국비 요청액 50억원도 정부 예산안에 포함되지 못했다. 여기에 하계 올림픽 공공개최라는 거대 이슈에 가려 동계아시안게임 공동유치는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질 가능성이 생겼다.
스포츠 팬들 사이에서 동계아시안게임의 경제적 효과를 놓고는 회의적인 시각이 있는 것도 걸림돌이다.
아시아권에서 동계스포츠 저변을 갖고 있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 북한 등 일부에 불과하다. 참가국은 30여 나라에 불과하다.
동계아시안게임이 ‘그들만의 잔치’로 전락할 수도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는 셈이다. 평창올림픽 이후 경기장 활용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강원도 가 경제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야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더구나 평창올림픽을 위해 수천년을 지켜온 원시림을 파괴하면서 지은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센터 산림 복원을 아시안게임 개최라는 이유를 들어 미룰 경우 환경단체의 거센 반발이 예상된다.
체육계의 한 관계자는 “대회 규모나 상징성 면에서 동계아시안게임은 하계올림픽의 상대가 되지 못한다”며 “강원도가 동계아시안게임을 꼭 열어야 하는 당위성은 물론 경제성, 환경문제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놓지 못할 경우 여론의 도움도 받지 못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은성 기자 esp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