랴오닝성 등 6개 지역으로 퍼져
살처분ㆍ이동제한 여파 가격 들썩
美 무역전쟁 계속 땐 급등 가능성
한국서도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중국 전역이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급속한 확산으로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동시에 소비국이다 보니 돼지고기 가격이 서민 체감물가의 바로미터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ASF의 경우 예방백신도 없고 치사율도 사실상 100%에 달하다 보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폭탄보다 ASF가 더 무섭다는 얘기가 나온다.
4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지난달 3일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에서 처음 발생한 ASF가 잠시 주춤하는가 싶었지만, 이달 2일과 3일 안후이(安徽)성 쉬안청(宣城)의 농가 3곳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등 최근 들어 발생주기가 빨라지는 추세다. ASF 발생 지역은 랴오닝ㆍ허난(河南)ㆍ장쑤(江蘇)ㆍ저장(浙江)ㆍ안후이성 등 6개 지역으로 늘었다. 중국 방역당국은 지금까지 3만8,000여마리를 살처분하고 발병농가를 중심으로 이동제한과 소독 조치 등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ASF는 예방백신이 전무하고 감염될 경우 급성은 치사율이 100%다. 지역적으로도 랴오닝성을 제외한 남동부 5개 지역은 서로 인접해 있어 대규모 발병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당국은 무엇보다 돼지고기 가격 폭등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중국은 4억두 이상의 돼지를 키우고 있는 세계 최대 돼지고기 생산국이자 소비국으로 소비자물가지수(CPI)에서 돼지고기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3%를 웃돈다. 축산농가를 중심으로 사료ㆍ도축ㆍ식품제조ㆍ유통 등에 종사하는 인원이 1억명을 훌쩍 넘는다. 명절 때마다 중국 정부의 최대 정책과제가 돼지고기 가격 안정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이미 돼지고기 가격은 들썩이기 시작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농림부 자료를 인용해 지난달부터 최근까지 돼지고기 가격이 8% 가량 상승했다고 보도했다. 남부지역에선 돼지 이동제한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북부 지역에선 살처분에 따른 물량 부족이 원인이라고 WSJ는 분석했다. 다만 베이징(北京)과 상하이(上海) 등 대도시 지역에선 소비자들이 돼지고기 구매를 기피하면서 가격이 다소 떨어지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돼지고기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는 건 아니란 얘기다.
문제는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장기화할 경우 돼지고기 가격에 급격한 변동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은 돼지고기 자급률이 97%이고 돼지 관련 질병 발생시 미국 등지로부터 수입을 일시적으로 늘려왔지만 무역전쟁 때문에 상황이 여의치 않아 자체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가격 폭등은 언제든 현실화할 수 있다. 경제매체 차이신(財新)망은 “중미 무역 갈등과 국제유가 상승으로 연말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거론되는 가운데 내년에 돼지고기 수급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식탁물가가 들썩일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지난주 유엔 산하기관인 식량농업기구(FAO)는 최근 중국에서 발병한 ASF가 아시아 전역으로 전염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특히 육로로 연결된 한반도와 동남아시아를 가장 취약한 지역으로 꼽았다. 실제 한국에선 지난달 하순 중국을 다녀온 여행객이 들여온 가공육품(순대ㆍ만두)에서 ASF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되기도 했다. 한국 검역당국은 가열된 식품이라 전염 가능성이 적다면서도 바짝 긴장하고 있다. 주중 한국대사관 측은 한국 여행객의 중국 축산농가 방문을 자제하고 가공육품이라도 가급적 국내로 반입하지 말 것 등을 권고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