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적지 않은 사람이 눈물이 줄줄 흐르거나, 눈이 시리고 뻑뻑해지는 증상으로 고생한다. 환절기가 되면서 최근 이 같은 눈물분비장애로 고생하는 사람이 적지 않게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건조한 겨울철에 눈물분비장애가 주로 나타나지만, 에어컨 사용이 늘면서 발병 시기가 앞당겨졌다. 눈물분비장애는 눈물샘에서 눈물이 많이 분비되는 ‘눈물 분비 과다’와 눈물샘이 막혀 눈물이 잘 배출되지 않는 ‘눈물 배출 장애’로 나뉜다.
눈물 분비 과다는 눈이 지나치게 건조한 안구건조증이나 속눈썹이나 화장품 등이 눈을 지속적으로 자극하거나, 반사적으로 눈물 분비를 촉진하는 질환 등에 의해 나타난다. 특히 렌즈를 자주 착용하거나 결막염, 눈꺼풀염 등 염증성 질환을 자주 앓을 때 주로 생긴다. 호르몬 영향과 렌즈ㆍ화장품을 많이 사용하는 여성에게도 많이 발병한다.
눈물이 정상적으로 분비되면 눈 표면에 눈물막을 형성한 후 눈꺼풀 안쪽 구석 위 아래에 있는 눈물점으로 배출돼 눈물소관을 따라 눈물주머니, 코눈물관을 거쳐 비강으로 배출된다.
그런데 어떤 이유로 이 경로가 막히면 눈물이 원활히 배출되지 않는다. 감염, 염증 등이 원인일 수 있고, 드물게 종양이나 결석 등에 의해 배출관이 막혀 발병하기도 한다. 신생아는 대부분 눈물 배출 경로가 열린 채 태어나지만 어떤 아이는 눈물 배출 경로가 막힌 상태로 태어나 문제가 되기도 한다.
눈물길이 막히면 눈 안에 지속적으로 눈물이 고이면서 안구가 아프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다. 눈물 배출 경로에 감염이나 염증이 생기면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이 같은 눈물분비장애는 세극등 현미경 검사, 눈물소관 관류술, 더듬자 검사 등으로 진단한다. 황제형 인제대 상계백병원 안과 교수는 “검사를 통해 막힌 부위와, 얼마나 막혔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며 “간단한 검사로 진단할 수 있으므로 눈물 분비 이상으로 아프거나 불편하다면 빨리 안과를 찾는 게 좋다”고 했다.
눈물분비장애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치료해야 한다. 인공눈물을 주기적으로 눈에 넣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원인 치료가 먼저다. 렌즈 착용이 잦다면 사용을 줄이고, 눈썹이 눈을 찌른다면 눈썹을 자주 뽑거나 눈꺼풀 수술을 받는 게 좋다.
황 교수는 “눈물 배출 장애를 치료하기 위해 국소마취로 눈물길을 직접 뚫어주는 방법이 많이 쓰이지만 폐쇄 원인이 염증이나 감염이라면 항생제ㆍ항염증제 등으로 원인 질환을 치료해야 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