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북부 우드스탁 숲 속의 ‘매버릭(Maverick) 콘서트 홀’은, 이름처럼 개성 있는 작품들을 선뵈는 작은 공연장으로, 지금도 매년 여름이면 실내악 페스티벌이 열린다고 한다. 좁은 숲길이 끝나는 자리에 널빤지를 덧대 세운 허름한 창고 같은 그 공연장에서 1952년 8월 29일 연주자는 존 케이지의 음악 동반자로 평생을 함께 했던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튜더(David Tudor)였다. 스톱워치를 들고 피아노 앞에 앉은 그가 한 일은 악보대로 1악장(33초) 2악장(2분40초) 3악장(1분20초)의 시간에 맞춰 건반 뚜껑을 열고 닫은 게 다였다. 악장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뚜껑을 닫고, 악장이 끝나면 여는 동작의 반복. 악보에는 음표 대신 ‘타셋(TACET, 긴 휴지ㆍ침묵)’이라는 음악 용어가 적혀 있었다.
그날 케이지는 두 곡을 발표했다. 피아노와 오리 울음소리, 트랜지스터 라디오 소리를 뒤섞은 첫 곡 ‘Water Music’까진 그러려니 하던 관객들도, 두 번째 곡(당일 즉흥적으로 붙인 제목은 ‘Four Pieces’였다)은 꽤 당혹스러워했다. 우드스탁 마을에 터 잡고 살던 예술가들, 휴가를 얻어 온 뉴욕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단원들, 그날 함께 작품을 발표한 모턴 펠드먼 같은 작곡가들도 마찬가지였다. 누구는 음악적인 농담, 혹은 음악에 대한 전위적 조롱으로 여겼고, 일부는 모욕감을 느꼈던 듯하다. 케이지의 전기를 쓴 데이비드 레빌에 따르면, 그날 한 마을 예술가가 벌떡 일어나 “저놈들을 마을에서 쫓아내자”고 고함을 질렸다고 한다.
그 침묵의 4분33초 동안 관객들은 솔숲을 지나온 바람소리, 지붕을 두드리는 빗소리, 풀벌레 울음소리, 옆 사람의 숨소리와 작은 웅성임을 들었을 것이다.
‘4분33초’는 엄청난 논란과 반향을 일으켰다. 침묵과 우연의 소음을 적극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음악의 개념을 새로 썼고 결과적으로 음악의 지평을 넓혔다는 찬사부터, 좋게 봐서 ‘개념 예술(나쁘게 말하면 장난)’이라는 평가까지, 논란과 새로운 해석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케이지가 선사한 건 그 ‘곡’이 아니라 그 시간 침묵에 몰입하는 경험이라고 창조적으로 해석하는 이들도 있다. 4분33초는 절대온도(273도)를 분초로 환산한 숫자라고 한다.
최윤필 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