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대한민국’처럼 의견 다양
답 얻으려 무리하게 운영 안해
절대평가 중장기안으로 다룬 건
당장 변별력 확보 방안 없어서
김영란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장은 3일 2022학년도 대입 개편 공론화 결과를 발표하며 “숙의를 통해 시민참여단이 내린 대입제도개편안에 대한 결론이 소름 끼칠 정도로 지혜로웠다”고 자평했다. 책임자인 정부와 교육전문가들이 결정하지 못한 문제에 절충안을 내놓음으로써 향후 대입제도 개편 방향을 제시했다는 설명이다. 다음은 결과와 관련 김 위원장, 한동섭 공론화위 대변인과의 일문일답.
-다수의 절대적 지지를 받은 대입제도 개편안이 없는데 결국 공론화로 합의점을 찾는다는 목표를 이루는데 실패한 것 아닌가.
“답이 확실하게 나올 사안이라면 공론화를 하지도 않았다. 답을 얻기 위해 무리하게 운영하기 보다 시민참여단의 생각을 그대로 조사하려고 노력했다. 한쪽으로 밀어붙이듯 결론이 나올 수 없었던 상황인 걸 정확하게 보여 줘 의미가 있었다고 본다. 시민참여단의 결론은 교육문제를 단 하나의 답으로 나눌 수 없다는 지혜로운 선택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현행보다 수능 절대평가를 확대해야 한다’는 답이 우세했지만, 2022학년도 대입에서는 상대평가로 시행되는 현행 수능 위주 전형을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모순된 결론 아닌가.
“시민참여단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중장기적으론 수능 절대평가가 확대돼야 한다고 보지만 이를 당장 시행하자니 그 변별력을 확보할 방안이 없다고 생각한 것 같다. 결국 전문가들에게 수능 절대평가의 변별력을 확보하라고 요구한 셈이다.”
-결론이 명확하지 않아 결국 교육부에서 떠넘긴 대입개편을 다시 공론화위가 국가교육회의로 떠넘기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공론화위의 역할은 결론을 내리는 것이 아니다. 시민참여단의 의견을 국가교육회의에 그대로 전달한 것이 의미가 있다. 단언컨대 시민참여단은 ‘작은 대한민국’으로 불러도 손색이 없었다. 국가교육회의와 교육부가 이를 잘 고려해 대입개편안을 확정할 거라고 본다.”
신혜정 기자 arete@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