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치안 R&D 사업 추진
피해자 심리적 부담 감소 기대
사고현장 통제 드론 등도 계획
3년간 6개 과제에 100억원 지원
드론이 2차 교통사고를 막아주고, 인공지능(AI) 상담 로봇인 챗봇이 성범죄 피해자를 상담하도록 하는 등 생활밀착형 치안 문제 해결에 과학이 앞장서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경찰청은 ‘치안현장 맞춤형 연구개발 시범사업(폴리스랩 사업)’으로 선정된 신규과제 6개에 향후 3년간 100억원을 지원해 본격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폴리스랩’ 사업은 전문가 중심의 기초ㆍ원천 연구개발과는 달리 과제 기획부터 실증, 적용 전 과정에 사용자인 국민과 경찰이 참여해 현장 애로사항을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대 ‘성범죄 문제 해결기술팀’은 성범죄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한 인공지능 상담형 챗봇 개발을 추진한다. 성범죄는 사전 방지도 중요하지만, 범죄 발생 이후 수사 과정 등에서 피해자에게 2차 추가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챗봇은 진술할 때 피해자의 심리적 부담을 낮춰주면서 피해 특성별로 꼭 필요한 진술을 확보할 수 있어, 추가피해를 최소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형드론 활용 경찰지원 시스템 개발팀’은 순찰차에서 탑재된 소형 드론이 현장 통제 임무를 맡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고속도로 2차 교통사고 등을 방지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렇게 되면 고속도로 사고 발생 시 위험한 현장에서 사고 대응과 함께 현장 통제까지 수행해야 하는 일선 경찰의 어려움이 줄어든다.
중소기업 에코스솔루션 ‘스마트폰 지문식별ㆍ신원확인 시스템 개발팀’은 경찰의 스마트폰 카메라를 통해 대상자의 지문을 스캔, 60초 이내에 신원 확인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현재 치매 환자, 미아 등의 신원확인을 위해서는 많게는 약 1시간이 걸리고 절차도 복잡한데, 이를 단순화해 수사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성균관대는 공공 폐쇄회로(CC)TV 외에도 차량용 블랙박스 등 사건 사고 현장 주변의 영상 장치를 연계ㆍ통합해 영상을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제보하고, 인공지능으로 분석하는 '자동차 블랙박스 영상 제보 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범죄사건을 신속ㆍ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공학연구개발기업 네비시스는 와이파이, LTE, 스마트폰 탑재센서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모바일 단말기 위치 파악의 정확도를 높이는 기술을 개발해 구조 요청자나 사건 신고자의 탐색을 위한 시간과 인력 낭비를 줄일 계획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현재 경찰이 사용 중인 방검복 방탄복이 무겁고 착용하기 불편해 흉기 소지자의 불시 공격에 대응하기 힘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튼으로 작동하는 접이식 초경량 방검 방패를 개발한다.
과기정통부는 “과학기술을 이용해 보다 근원적인 해결이 필요한 과제 위주로 우선 선정했다”며 “과제별로 치안현장을 선정 주민과 경찰이 참여해 1, 2년간 기술을 개발한 뒤 1년간 실증작업을 거치게 된다”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