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엔 전문병원 400여곳 불과
태국ㆍ싱가포르 등 현지 병원은
중국어 사이트 신설 등 유치 경쟁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6년부터 ‘한 자녀 정책’을 폐지한 중국 정부가 예상치 못한 난제를 만났다. 바로 불임 문제다.
중국 정부는 평균수명은 길어지는데도 합계출산율이 1.5~1.7명에 머물자 40년 넘게 유지해 온 한 자녀 정책을 폐지했다. 하지만 두 자녀 허용 2년째인 지난해에 태어난 신생아 수는 1,758만명으로 전년보다 88만명가량 감소했다. 그나마 신생아 중 둘째 비율이 50%를 넘어섰다는 게 위안이었다.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신생아 감소의 원인 중 하나로 불임 문제를 지적했다. 환경오염 심화와 장시간 노동, 결혼 및 출산연령 상향, 높은 생활물가와 보육비 부담 등 불임의 직ㆍ간접적인 요인이 증가했다는 것이다.
사실 중국에는 불임 관련 통계가 거의 없다. 공식적으로는 2012년 중국인구협회(CPA)가 불임인구를 전체 가임연령 인구의 12.5%인 4,000만명 정도로 추산한 통계가 가장 최근의 것이다. 중국 시장조사기관 첸잔(前瞻)산업연구원은 지난 3월 정례보고서에서 “전국 주요 병원의 진료건수 추이와 농촌지역의 열악한 의료환경을 감안하면 최소한 5,000만명 이상일 것”이라고 추산했다.
문제는 인공수정 시술 등 불임치료가 가능한 전문병원이 전국적으로 400여곳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인공수정 시술을 받으려면 최소 1년 이상 대기해야 하고 기본적인 진료조차 4~5시간을 기다려야 받을 수 있다. 상하이(上海)의 한 30대 여성은 최근 싱가포르 연합조보와의 인터뷰에서 “4시간 넘게 대기해 봐야 상담 시간은 5분도 채 안 된다”면서 “경제적 부담이 좀 있더라도 차라리 태국이나 싱가포르로 가서 치료를 받고 오는 게 나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중국 불임환자 중 일부는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로의 의료관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시작했다. 태국 방콕의 피야베이트병원 관계자는 연합조보에 “최근 1, 2년 사이 불임 시술을 받으려는 중국인이 크게 늘어 불임환자 중 80% 이상이 중국인 환자”라고 말했다. 이들 국가의 주요 병원들은 중국인 불임환자 유치를 위해 중국어 원무접수 사이트 신설과 중국어가 가능한 간호사 채용 등에 경쟁적으로 나선 상태다. 첸잔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불임환자들이 지난해 동남아 의료관광에 지출한 금액은 전년 대비 22% 증가한 14억달러(약 1조6,000억원)에 달한다.
중국 런지(仁濟)생식센터 측은 “불임 문제를 개인이 아닌 사회공동체의 문제로 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에서 국영병원의 불임센터 운영, 의료보험의 보장범위 확대 등 중장기 대책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