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6.7%를 기록해 1분기(6.8%)에 비해 소폭 둔화했다. 시장 예상치에는 부합하는 수준이지만, 미중 ‘무역전쟁’이 이달 들어 본격화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이상징후로 여길 만하다. 게다가 중국 내부적으로는 부채 감축(디레버리징)이 시급한 과제라 하반기에 추가로 경기가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16일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7%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블룸버그와 로이터가 각각 집계한 경제전문가들의 예상치에 부합하는 것이지만, 지난해 1,2분기 6.9%에 이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연속 6.8%를 기록한 뒤 추가로 0.1%포인트 하락한 것이어서 둔화 추세가 굳어지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특히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격화하기 시작한 때임을 감안하면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 우려가 현실화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안정적인 중속 성장 기조가 이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마오성융(毛盛勇) 국가통계국 대변인은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12개 분기 연속 6.7~6.9% 구간에 있다”면서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하고 국내 구조조정과 신구 성장동력의 전환 요구 속에서도 질적 경제발전의 추세가 뚜렷하게 확인된 것”이라고 자평했다. 실제 2분기 성장률과 상반기 성장률(6.8%)은 중국 정부의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6.5% 안팎’을 웃도는 수준이다.
하지만 중국 경제의 3두마차 가운데 고정자산투자와 소비는 작년 상반기보다 증가세가 둔화했고 수출 증가율만 확대된 만큼 전반적인 상황을 낙관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출 증가율 확대 역시 본격적인 미중 무역전쟁에 앞서 예정된 물량을 서둘러 소화한 결과라는 분석도 있는 만큼 하반기에도 이런 흐름이 지속될지는 불확실하다. 2분기 경제성장률 발표 직후 위안화 가치가 달러당 6.7165위안까지 떨어졌고, 하락 개장했던 상하이(上海)종합지수도 상승 반전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등 혼조세를 보였다.
주민 소득의 실질증가율이 6.6%로 경제성장률을 밑돈 것도 심상치 않아 보인다. 부채 감축 정책이 본격화할 경우 경기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고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이 더해지는 상황에서 실질소득 증가율마저 둔화한 건 중국 경제의 버팀목인 내수에서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다. 상반기 부동산 개발투자가 작년 동기 대비 9.7% 늘어나는 데 그쳤고, 6월에는 1~5월에 비해 0.5%포인트 떨어진 것도 중국 경기를 지탱하는 한 축인 부동산시장의 위축 가능성을 점치게 한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하반기에도 지속될 경우 중국 경제가 받는 대외적인 압박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 추가적인 경기 둔화를 우려해 부채 축소 정책에서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지만 이는 시진핑(習近平) 체제의 핵심정책 방향인 경제의 질적 전환을 어렵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날의 칼이 될 수 있다. 미국이 추가로 2,000억달러 규모 중국산 제품에 대해 고율관세 부과 방침을 밝힌 데 대해 중국이 정면대응을 피하면서 조기 타협을 모색하는 건 안팎으로 닥친 이 같은 어려움들과 무관치 않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