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요구로 급 높인 회담 9년 만에 개최
북미가 15일 9년여 만에 판문점에서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었다. 6ㆍ25전쟁 때 전사한 미군 유해 송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서다. 송환 시기와 방식 등이 핵심 의제지만, 종전(終戰) 관련 현안이 북한에 의해 거론됐거나 이를 협의할 후속 회담 얘기도 오갔을 가능성이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은 성명을 통해 회담을 “생산적”이라 평가했고 이튿날인 16일에도 이미 수습된 유해의 송환 등 후속 조치를 논의하기 위해 실무협상이 이어진다고 밝혔다.
복수의 정부 및 주한미군 소식통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전 10시쯤부터 약 2시간 동안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회담을 진행했다. 미국 측 대표단에는 공군 소장인 마이클 미니한 유엔군사령부 참모장이, 북측 대표단에는 미국과 동급(북한 계급상 중장)의 인민군 장성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세부 합의 내용은 즉각 알려지지 않았으나, 폼페이오 장관은 양측이 북한 내 미군 유해발굴 작업의 재개에 합의했다고 공개했다.
이날 회담에서는 미군 유해 송환 일정과 규모, 방식 등이 주로 논의됐을 공산이 크다. 당초 12일 열기로 양측이 잠정 합의했던 유해 송환 실무회담에 ‘준비 부족’을 이유로 북한이 불참하고, 대신 미군이 주축인 유엔사 측에 장성급 회담으로 급(級)을 높이자고 역제안 하면서 이날 회담이 성사됐기 때문이다.
유해 송환은 6ㆍ12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합의한 사항이다. 이에 미군은 지난달 하순 유해를 넘겨받는 데 쓰일 운구함 100여개를 판문점에 보냈고, 3주 넘게 공동경비구역(JSA) 유엔사 경비대에 대기시켜 놓고 있는 상태다.
애초 약속된 대로 유해 송환에 의제를 국한한다는 게 미측 입장인 만큼 포괄적으로 다른 현안들이 논의되지는 못했으리라는 게 외교가의 대체적 관측이다. 그러나 유엔사와 북한군 간 장성급 회담이 북측 요구에 따라 2009년 3월 이후 9년 4개월 만에 열렸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북한에게 다른 심산이 있었을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일단 이번 회담이 종전선언 추진을 위한 정지 작업 성격일 수 있다. 북한은 6~7일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방북 직후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종전선언 논의에 소극적인 미국을 상대로 실망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유엔사와의 채널 재가동을 통해 정전체제를 준수하는 모양새를 갖추면서 향후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을 추진하기에 앞서 대내외에 환기하는 효과를 북한이 의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의제 확장을 위한 장성급 협의 채널 복구를 노렸을 개연성도 상당하다. 1998년부터 2009년까지 16차례 열린 유엔사와 북한군 간 장성급 회담에서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정전협정 준수 등이 논의됐다. 문성묵 한국국가전략연구원 통일전략센터장은 “현재 잠정 유예 상태인 한미 연합군사훈련 등 군사 현안을 미국과 직접 협의하기 위한 북한의 채널 복원 시도가 이번 회담일 가능성이 크다”며 “후속 회담이 이뤄진다면 유해 송환 외에 다른 문제들도 논의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