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호르몬 사태 일단락 됐지만
“구미산단 상류 지역으로 이전”
“이전하면 하수관리 소홀 우려”
市-환경단체 엇갈린 해법 팽팽
환경호르몬이 검출되면서 생수 품귀현상까지 일으켰던 대구 수돗물 사태가 ‘취수원 이전’이라는 또 다른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대구 수돗물에서 검출된 환경호르몬 농도가 낮아지면서 일단락되기는 했지만, 근본 해법을 두고 대구시와 환경단체들이 엇갈린 해법을 내놓으면서 팽팽히 맞서는 양상이다.
9일 대구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6일 기준 과불화화합물중 환경호르몬인 과불화헥산술폰산(PFHxS) 농도는 문산 정수장 리터당 0.086㎍, 매곡 정수장 0.082㎍으로 나타났다. 지난 5월 21일부터 두 정수장에서 화학물질 농도를 측정한 이후 모두 최저치다. 캐나다(0.6㎍), 스웨덴(0.9㎍) 기준보다는 확실히 낮고, 매우 엄격하다는 호주(0.07㎍)의 권고기준도 거의 충족하는 수준이다. 발암물질로 분류된 과불화옥탄산(PFOA) 농도도 6일 기준 문산 0.018㎍, 매곡 0.016㎍을 기록해 세계보건기구(WHO) 권고치(4.0㎍)를 크게 밑돌았다.
문제는 같은 사태를 막기 위한 근본 해법이다. 대구시는 그 해법으로 취수원 이전을 내걸고 있다. 2009년부터 취수원을 구미국가산업단지 상류 지역으로 이전할 것을 요구해왔는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이를 관철시키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내비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는 시장 직을 건다는 각오로 가장 빠른 시일 내에 해결하겠다”고 나섰을 정도다. 대구시 관계자는 “구미공단에서 2,000여종의 화합물을 사용하고 있는데 모니터링 하는 물질은 160여종에 불과하다”며 “기준치가 없는 물질들로 인해서도 수질사고는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
“취수원 다변화ㆍ강 철저 관리를”
반면 환경단체들은 대구시가 취수원 문제에 근본적 해결을 하기 보다는 지역 이기주의를 조장하는 취수원 이전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오염원 근본적 차단과 상시적 수질관리, 투명한 정보공개를 통해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계대욱 대구환경운동연합 활동가는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게 되면 구미산단과 대구지역의 하수관리가 소홀해질 수밖에 없고 낙동강 하류의 수질은 더 악화될 것”이라며 “구미의 반발뿐 아니라 부산ㆍ경남과의 갈등을 불러올 것”이라고 말했다.
유해물질 농도 하락이 일시적인 처방에 따른 것인 만큼 수돗물에 대한 대구 시민들의 불안도 여전하다. 대구 시민들이 주축이 돼 만들어진 온라인 카페에서는 사태의 책임자 처벌과 정부 차원의 관리를 촉구하는 온라인 서명 운동과 오프라인 시위가 논의되고 있다. 이태관 계명대 환경과학과 교수는 “기준치가 없는 유해물질이 여전히 많기 때문에 수돗물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불안할 수밖에 없다”며 “가뭄이나 사고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대구 취수원 다변화를 검토하면서 낙동강 상수원을 철저히 관리하는 이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은경기자 scoopko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