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켐텍 사장이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로 확정된 이후인 25일,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권오준 전 회장이 자신의 비리를 덮어 줄 사람을 고른 것 아니겠냐”고 날을 세웠다. 회장 후보 선출 과정이 한창이던 지난 19일에는 “몇몇 사람이 밀실에서 영향력을 미친다는 의혹이 있는데 국민의 기업을 이렇게 사유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비판했다.
홍 원내대표 말마따나 회장 후보자 선임 과정이 부적절했고, 밀실에서 영향력을 끼친 인물들이 있다면 누군지 구체적으로 밝히면 될 일이다. 이어 사실관계를 확인한 뒤 선임절차 중지 등으로 대처하면 된다. 하지만 홍 원내대표는 주장을 뒷받침할 구체적 증거를 내놓지 않은 채 계속 의혹만 제기하고 있다. 26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도 “포스코 임원의 70%가 부산ㆍ경남(PK), 대구ㆍ경북(TK) 출신이라 마지막 단계에선 그게 좌우해 최종 후보자가 뽑혔다, 권오준 전 회장이 후임을 정해놓고 정밀한 프로세싱인 것처럼 포장해 답답하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게다가 홍 원내대표는 “포스코 구성원들이 직접 회장을 뽑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말도 했다. 홍 원내대표는 그저 포스코 직원들의 의사가 반영되게 하겠다는 뜻이겠지만, 포스코는 집권당 원내대표의 말 한마디에 전전긍긍할 수 밖에 없다. 법적으로 주주가 주인인 주식회사 포스코의 중요한 제도개혁 방향을 언급할 때는 집권당 지도부답게 신중한 검토를 거친 후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홍 원내대표는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포스코를 비롯한 기업들에 직접 개입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지키고 있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몇몇 사람이 밀실에서 영향력을 행사한다” “회장 후보를 구성원들이 선출하도록 해야 한다” 등 포스코 차기 회장 후보 선정 전후로 쏟아낸 홍 원내대표의 발언 역시 국민들에게 또 다른 ‘인사 개입’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여당을 대표하는 인물의 발언이란 점에서 단순 우려라고 치부하기엔 그 무게가 절대 가볍지 않기 때문이다.
공기업이었던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됐지만 정권이 바뀔 때마다 회장이 교체되는 비극이 반복되고 있다. 엄연한 민간기업을 정권의 전리품으로 생각하는 후진적인 인식이 고쳐지지 않은 결과다. 여당은 이를 적폐라고 지적해왔다. 그랬던 여당이 지금 똑같은 행태를 되풀이하고 있다. 전형적인 ‘내로남불(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변태섭 산업부 기자 libertas@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