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22일 금강산에서 적십자회담을 열어 8월 20~26일 금강산 면회소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갖기로 합의했다. 상봉 규모는 남북 각 100명 씩이다. 이날 회담은 남북 정상이 4ㆍ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이산가족ㆍ친척 상봉 진행을 합의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고향방문단으로 시작한 뒤 2000년부터 급물살을 탔다. 2015년까지 모두 20차례 진행된 상봉 행사 대부분 남북 화해 무드였던 김대중, 노무현 정부에서 치러졌다.
남북, 북미 대화 분위기를 타고 여러 화해 조치들이 나오고 있지만 이산가족 상봉 재개는 그 의미가 남다르다. 가족 소식이라도 알자며 애태우는 실향민이 여전히 5만7,000명을 헤아리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들이 이미 대부분 고령이라는 점이다. 1980년대 약 13만 명이던 실향 인구는 절반 이하로 줄었고, 이마저 80, 90대가 60% 이상이다.
이산가족 상봉 재개는 반길 일이다. 하지만 이번 합의처럼 100명 정도 선발해서 지정 장소에서 만나게 하는 소극적 방식으로는 실향민의 한을 풀기에 어림도 없다. 빠르게 진행되는 남북, 북미 대화에 맞춰 좀더 과감한 방식으로 이산가족 간 만남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직접 만남은 지금대로 진행하면서, 북한 당국을 설득해 가족 상봉을 바라는 실향민 전원에 대한 생사 확인을 서둘러야 한다. 생사가 확인된 가족들은 서신 교환이나 전화ㆍ화상 통화 등으로 우선 연락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후 상설면회소 등 여러 장소를 활용해 직접 상봉으로 확대해 가야 한다. 이를 위해 북미 회담을 통한 북한 비핵화와 체제보장, 종전선언 등 한반도 평화협상이 순조롭도록 최선을 다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