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주변 참모진의 반대에도 불구, 주한미군 감축 또는 철수 주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 문제가 북미 정상회담 이후에 또 다시 불거질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7일(현지시간) 미국의 외교안보 전문 칼럼니스트인 로시 로긴은 워싱턴포스트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거의 2년 동안 2만8,000명이 주둔해 있는 한국에서 상당수를 철수시키는 것에 관해 이야기해 왔다”며 “참모진들이 반복적으로 대규모 감축에 대해 반대해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까지도 설득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또 미 행정부 관료들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종종 군 장성들에게 아시아에 미군을 주둔시키는 명분에 대해 설명할 것을 요구해 왔는데, 그들이 내놓은 답에 불만족스러워했다고 전했다.
주한미군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는 참모진들과 달리, 트럼프는 이를 통해 얻는 게 없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 백악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 동맹의 약속을 국고를 새게 하는 구멍으로 인식해 왔다”며 “그는 무형의 것에 관심이 없다. 그는 단지 비용의 최종 결과를 본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백악관과 국방부 관계자들은 비공식적으로 주한미군 문제와 관련한 다양한 선택지들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6ㆍ12 북미 정상회담 후 주한미군 문제가 논의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맥락을 같이 한다. 앞서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은 지난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에서 주한미군 감축 문제는 북미 정상회담과는 별개라는 입장을 밝히면서도 “우리가 위협을 줄일 수 있고 신뢰 구축 조치를 복원할 수 있다면, 두 민주 국가(한미) 사이에 거론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로긴은 “북미 정상회담 후 주한미군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물론 이런 일이 미국에서 처음 있는 일은 아니다. 1970년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참모진들의 반대에도 세계 곳곳에 배치된 미군 병력을 철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카터 대통령의 경우 미 중앙정보국(CIA)가 북한의 대량살상무기(WMD)가 생각보다 위험할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낸 뒤 생각을 바꿨다. 채지선 기자 letmeknow@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