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대중영합주의 정당 세 확장
집권 성공 국가 GDP 비중 41%로
신용도 추락 등 타국에 악영향 우려
세계 곳곳에서 대중영합주의(포퓰리즘) 정당이 속속 등장하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포퓰리즘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주요 20개국(G20) 중 포퓰리즘 경제의 비중이 10년 사이 10배나 늘었다는 분석도 나왔다.
5일(현지시간) 미국 블룸버그에 따르면 톰 올릭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 수석 아시아 이코노미스트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G20 가운데 포퓰리즘 세력이 장악한 국가의 국내총생산(GDP) 비중이 2007년 전체의 4%에서 최근 41%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그는 G20 국가를 ▦비민주주의 ▦약한 민주주의 ▦포퓰리즘 민주주의 ▦기득권 민주주의 등 4가지 범주로 나눴는데, 이중 포퓰리즘 국가가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 것이다. 반면 같은 기간 전통적인 주류 민주주의 세력이 집권한 국가의 GDP 비중은 83%에서 32%까지 떨어졌다. 블룸버그는 “2008년 금융위기로 흔들린 경제와 높은 실업률, 소득 불평등이 서구 민주주의 정권의 실패로 부각되면서 포퓰리즘 세력이 촉발됐다”고 해석했다.
실제로 전 세계적으로 양극화 심화, 일자리 부족, 이민자 유입과 테러 등 사회적 불안이 커지며 여러 국가에 포퓰리즘이 확산되고 있다. 올릭 이코노미스트도 포퓰리즘 세력의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을 내세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과 이탈리아 포퓰리즘 정당의 집권 성공 등을 꼽았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전통적 양당 체제에 편입돼 공화당 후보로 출마한 만큼 “포퓰리즘과 주류 민주주의의 카테고리 중간쯤”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3일 슬로베니아에서도 헝가리와 오스트리아에 이어 ‘반난민’ 기조를 내세운 포퓰리즘 정당이 4년 만에 총선에서 승리하는 등 동유럽, 남미 국가에서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이처럼 포퓰리즘 정부가 늘어나며 이들 국가의 경제 정책이 글로벌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우려도 커지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내수를 성장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재정수지 악화, 신용도 추락 등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다른 국가에도 타격을 줄 것이라는 분석이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대중영합적인 정책을 펼치는 국가가 아니더라도 주위의 포퓰리즘 정권에 의해 금융 시장이 교란될 경우 글로벌 경제에 파장이 확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현대경제연구원은 그리스의 포퓰리즘 사례를 분석, 포퓰리즘 이전 시기(1971~80년) 연 평균 4.2% 성장에서 포퓰리즘 시기(81~2004년) 2.2%, 이후(2005~15년) -0.02%로 경제가 악화했다고 발표했다. 박용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극단적 포퓰리즘 정책 추진은 국가 재정의 부담을 줘 결국 감내하기 힘든 상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허경주 기자 fairyhkj@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