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본 해결엔 한계” 업계선 회의적
네이버가 25일 댓글 운영 정책 개선안을 내놓는다. 클릭할 수 있는 ‘댓글 공감 수’를 제한하고 댓글을 연속으로 달지 못하도록 시간제한을 두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댓글 조작 기술 수준을 볼 때, 이 정도로는 댓글 조작을 근절할 수 없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24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1인당 댓글에 대해 공감과 비공감을 누를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식을 도입할 예정이다. 지금은 무제한으로 클릭할 수 있다. 구체적인 공감 수 제한 수량에 대해선 논의 중이다. 현재 1인당 댓글을 달 수 있는 횟수를 20개로 한정하는 규정에 ‘시간차’라는 제약을 추가할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 댓글을 작성한 이후 두 번째 댓글을 달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을 기다리도록 한다는 얘기다. 이를 통해 비슷한 내용의 댓글이 계속 달리면 여론이 왜곡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외에 댓글 노출 순서를 댓글이 달린 시간 기준으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을 알려졌다.
이번 개선안은 지난달 네이버가 발족한 ‘댓글정책이용자패널’의 논의를 거쳐 마련됐다. 댓글정책이용자패널은 이해관계자들을 배제한 일반인 20명으로 구성된 조직이다. 애초 종합적 개선안이 8월 공개될 예정이었지만. 드루킹 사건으로 논란이 거세지자 일정을 앞당겨 일부 개선안을 먼저 내놓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개선안이 근본적 해결책이란 평가를 받을 수 있을지는 회의적이라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드루킹 사건은 매크로(여러 개의 명령어를 조합해 컴퓨터가 반복적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짠 프로그램)로 공감 수를 조작한 게 핵심이다. 네이버는 2015년 댓글 정렬 옵션 기본값을 ‘최신순’에서 ‘호감순’(공감 클릭 수)으로 변경했다가 지난해 11월 ‘순공감순’으로 바꿨다. 순공감순은 댓글에 대한 공감 수에서 비공감 수를 뺀 숫자가 높은 댓글부터 노출한다. 드루킹 사태에 사용된 매크로는 공감을 계속 클릭하도록 설정돼 특정 댓글이 가장 위에 올라가도록 한 것으로 추정된다. 개편안처럼 계정당 공감 수나 연속 댓글 달기를 제한하더라도, 여러 계정을 사용하거나 인터넷프로토콜(IP)을 우회하면 얼마든지 규정을 빠져나갈 수 있다.
정치권 등에서 요구하는 뉴스 아웃링크 전환 조치나 댓글 폐지는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자 1명당 계정 생성 수(현재 3개)를 축소하는 변화나 댓글 기능은 하나의 계정으로만 사용하는 방안 등도 검토 대상이었지만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네이버에 이어 카카오도 다음뉴스 댓글 정책 개선안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맹하경 기자 hkm07@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