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정부대전청사 20년] 조달청 “빅데이터ㆍAI 접목…나라장터 혁신”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정부대전청사 20년] 조달청 “빅데이터ㆍAI 접목…나라장터 혁신”

입력
2018.04.18 23:39
0 0

전자문서 위ㆍ변조 방지체계 강화

26개 조달시스템도 단계적 통합

조달행정 투명ㆍ공정성 제고

조달청은 전자조달시대를 맞아 조달기업들이 자사 제품과 신기술을 홍보하고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이 조달물품을 한자리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매년 나라장터 엑스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엑스포는 25일부터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조달청 제공
조달청은 전자조달시대를 맞아 조달기업들이 자사 제품과 신기술을 홍보하고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이 조달물품을 한자리에서 비교할 수 있도록 매년 나라장터 엑스포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 엑스포는 25일부터 3일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다. 조달청 제공

조달청은 정부에서 필요한 물자의 구매와 공공분야에서 발주하는 시설공사의 계약ㆍ관리를 담당하는 중앙조달행정기관이다. 1949년 1월 원조물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국무총리소속으로 설치된 임시외자총국이 출발점이다. 1961년 경제개발에 필요한 물자와 시설물의 효율적인 조달을 위해 외자청을 조달청으로 확대 개편, 내ㆍ외자 조달은 물론 시설공사 계약업무까지 맡으며 중앙조달행정기관으로서의 면모를 갖추었다.

조달청은 1998년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대전정부청사로 이전하며 본격적인 전자조달 시대를 열었다. 조달청의 핵심 업무는 공공기관이 필요한 물품이나 용역, 공공시설물을 국내외에서 조달하고 공급하는 것이다. 물품 구입을 위해 생산기업이나 유통업자 등을 대상으로 입찰을 실시한다.

대전청사 시대 전에는 물품구입이나 시설공사 입찰은 서류 중심,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다보니 1건의 입찰에 3,000명 이상이 서류를 제출하고 계약서 한 건에 1,700개의 도장이 날인되기도 했다는 게 고참 조달청 직원들의 전언이다. 손으로 하는 작업이다 보니 입찰과 낙찰 과정에서 투명성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 나라장터 시스템이다. 조달청은 1997년부터 조달업무 전 과정을 전자 처리했지만 다른 공공기관들이 수작업에 의존, 모든 공공기관의 조달업무 전산화를 위한 전자조달시스템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2001년 5월부터 전자장부 사업의 하나로 나라장터시스템 구축에 착수하여 2002년 10월부터 서비스를 개시했다.

나라장터는 조달업체 등록과 입찰, 계약 체결, 보증금 수납, 대금 지급 등 조달업무 전 과정을 전자 처리한다. 또 모든 공공기관의 입찰정보를 제공하고 나라장터에 한번 등록하면 어느 기관 입찰에나 참가할 수 있도록 공공조달 단일창구 역할도 하고 있다.

전자입찰에 따른 거래비용 절감 효과는 연간 4조5,00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기업의 경우 관청 방문에 따른 절감액이 2조 8,000억원, 조달 프로세스 표준화로 7,000억원, 관련시스템 연계효과 4,000억원, 조달절차 간소화 2,000억원 등 기업부문 절감액이 총 4조1,000억원에 이른다. 수요기관도 업무 경감과 시간 절약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가 4,000억원에 이른다.

나라장터는 2003년 유엔 공공서비스혁신상을 수상했고, 2004년에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로부터 투명성 개선 모범사례로 인정받기도 했다. 이런 평가를 바탕으로 베트남과 코스타리카, 몽골, 튀니지 등에 시스템도 수출했다.

나라장터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5만2,000여개 수요기관과 34만여개 조달업체가 이용하고 있다. 주말을 제외하면 매일 20만여명이 나라장터를 방문하고, 21만여건의 서류를 온라인으로 교환하고 있다. 2016년 공공기관 전체 거래규모 116조9,000억원 중 66.8%인 78조1,000억원 상당의 물품 납품과 공사계약이 나라장터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조달청은 나라장터 개통 뒤 국가-지방자치단체 재정시스템 연계 확대, 부정입찰 원천 차단을 위한 지문인식 전자입찰제 도입, 스마트폰 기반 나라장터 조회서비스 등 시스템 고도화를 진행해 왔다.

나라장터는 개통 후 16년이 지나면서 노후화 정도가 심해져 올해부터 2021년까지 새로운 정보기술 환경에 맞게 전면 재편에 나선다. 최신 정보통신기술(ICT)인 블록체인과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기반으로 사용자 중심의 전자조달시스템을 구축하고, 26개 자체전자조달시스템을 나라장터에 단계적으로 통합하여 예산의 중복투자를 방지하는 통합관리체계 구축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전자문서 위ㆍ변조 방지체계를 강화하고 전자조달시스템 도입을 희망하는 국가에 시스템 대신 서비스를 수출하는 방안도 적극 강구할 계획이다.

박춘섭 조달청장은 “투명하고 공정한 전자조달이 공공부문을 넘어 민간 부문에 확산되도록 나라장터를 개방하고, 비즈니스간 오픈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허택회 기자 thheo@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