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17일 예정에 없던 기자 간담회를 자청해 남북 정상회담 진행 상황을 브리핑했다. 임 실장이 명시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한반도 운명을 가를 역사적 회담이 코앞인데도 분위기가 조성되지 않고 있다는 조바심이 표정에 묻어났다. 사실 국제사회의 뜨거운 관심에 비해 남북 정상회담에 대한 국내의 관심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 같아 우려스러운 것은 부인할 수 없다.
청와대는 이번 회담의 주요 의제로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관계 발전의 3가지를 정하고 진작부터 준비에 돌입했다. 5~6월 북미 정상회담의 디딤돌을 놓기 위해 비핵화 의제에 집중하면서 비무장지대 감시초소(GP) 철수 등 평화구축 방안에서 실질적 성과를 낸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 실장은 “필요하다면 언제든 서훈 국정원장과 정의용 안보실장의 평양 방문도 열려 있다"면서 회담 성과를 위해서는 사전에 대북 최고위 라인의 직접 방북도 가능하다는 입장까지 밝혔다.
양측 당국 사이의 회담 실무 준비는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18일 경호ㆍ의전ㆍ보도 분야 2차 실무 회담에 이어 20일 2차 고위급 회담도 예정돼 있다. 청와대는 안팎의 관심을 고려해 회담 관련 자료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도 구축했다. 문 대통령은 얼마 전 원로 자문단을 만나 이런저런 조언도 들었다. 미국과 북한에서도 연쇄 정상회담을 앞두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태도를 취하는 등 회담 성사를 위한 환경 조성에 나서고 있다.
문제는 국내 정치 여건이다. 보수 야당에서는 과거 비핵화 합의를 헌신짝처럼 무시했던 북한의 전력을 문제삼아 정상회담에 회의적이다. 최근 청와대에서 문 대통령과 만난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도 정상회담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지만 북핵 일괄폐기라는 자기 주장만 반복했다. 여기에 김기식ㆍ김경수 파문까지 겹쳐 정국은 혼돈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과연 이런 여건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을지, 실질적 성과를 도출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번 남북 정상회담은 과거 두 차례 회담과 차원이 다르다. 2000년 회담에서 남북이 화해ㆍ협력에 물꼬를 트고 2007년 남북 정상이 평화번영의 길을 모색했다면 이번에는 북한 핵ㆍ미사일 문제를 포괄적으로 접근하면서 한반도의 항구적 평화 방안을 논의하게 된다. 이번 회담의 성과가 북미 정상 간 회담으로 이어진다면 한반도 운명이 바뀔 수도 있다. 회담의 성공을 위해 여야의 정치 지형과 이념의 좌우를 떠나 각계각층이 초당적 협력을 기울일 때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