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농축산업에 정보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팜을 확산시키기 위해 산업 거점을 구축하기로 했다. 개별 농가나 농업인에게 스마트팜을 보급하는 전략에서 벗어나, 산업 인프라와 생태계를 육성한다는 취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스마트팜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청년 창업 생태계 마련 ▦스마트팜 실증단지 조성 ▦스마트팜 혁신밸리 구축이 주요 골자다.
스마트팜은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기반으로 농작물이나 가축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농장을 일컫는다. 지난해 11월 정부의 혁신성장 핵심 선도사업 중 하나로 선정됐지만, 그간 개별 농가 단위 보급에만 치중하다보니 기초 인프라 조성 등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은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정부는 우선 청년 농업인 유입을 확대하기 위해 내년부터 스마트팜 청년 창업 보육센터 4개소를 지정, 장기 전문교육과정(입문 교육 2개월+교육 실습 6개월+경영 실습 1년)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2022년까지 600명의 스마트팜 전문 인력을 양성한다는 목표다. 또 임대료만 내고도 창업이 가능한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을 2021년까지 30ha를 조성한다.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스마트팜 관련 실증 연구를 할 수 있는 스마트팜 실증단지도 만든다. 기업들은 실증단지에서 스마트팜의 필수 기자재인 센서, 복합환경제어기 등을 개발해 품질 검증을 해볼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참여하는 다부처 연구개발(R&D)도 추진한다. 기자재의 성능 개선에 치중하는 R&D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기술 고도화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창업 생태계와 실증연구단지를 아우를 거점 인프라인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2021년까지 4곳에 조성된다. 청년 창업 보육센터, 청년 임대형 스마트팜, 스마트팜 실증단지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달 23일부터 7월 중순까지 공모를 진행해 7월 우선적으로 2개 시ㆍ도를 선정한다.
농식품부는 이번 대책으로 2022년까지 시설 원예 관련 스마트팜은 4,010ha에서 7,000ha, 스마트축사는 790호에서 5,750호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연관 산업 성장으로 일자리는 4,300여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종=이현주 기자 memory@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