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사설] 시리아 화학무기 참극, 국제사회는 두고 만 볼 셈인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사설] 시리아 화학무기 참극, 국제사회는 두고 만 볼 셈인가

입력
2018.04.09 19:53
31면
0 0

시리아에서 국제법으로 금지된 화학무기가 사용돼 어린이를 포함한 주민 수십 명이 희생되는 참극이 다시 빚어졌다. 국제원조단체 등에 따르면 지난 7일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 외곽 동구타 지역에서 화학무기 살포로 의심되는 공습이 이뤄진 뒤 최소 49명의 주민이 호흡곤란 등으로 숨졌다고 한다. 염소가스 피해 증상을 보이는 주민이 500명 이상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올해로 7년째인 시리아 내전 중 화학무기 사용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사린, 염소가스 공격 등으로 2013년 수백 명이 숨지는 등 매년 비극이 되풀이되고 있다. 유엔이 현지조사를 통해 공식으로 화학무기 사용을 확인한 것만 세 차례에 이른다.

시리아 정부군이 저지른 것으로 보이는 이런 야만적 행위를 국제사회가 두고 보기만 한 것은 아니다. 2013년 참사 이후 미국과 러시아의 합의로 화학무기금지기구(OPCW)가 주도한 시리아 화학무기 폐기 작업이 진행돼 세계의 이목이 쏠린 적도 있었다. 하지만 화학무기 재사용으로 전량 폐기를 목표로 한 당시 작업이 불완전했음이 드러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사망자만 40만명에 육박하는 시리아 내전 자체가 종결되지 않고는 애초에 불가능한 일이었는지도 모른다.

구테레스 유엔 사무총장이 “지상의 지옥”이라고 불렀던 시리아 사태는 결국 국제사회가 적극 개입해 문제를 풀어 가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까지 주요국들이 시리아 내전 종식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고민하고 협력했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사태 해결의 열쇠를 쥔 미국과 러시아의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정권을 적극 지원하는 러시아는 화학무기 사용 의혹이 제기될 때마다 시리아 정부와 함께 “근거 없는 날조”라고 무시해 왔다. 유엔의 조사 결의안에 거부권을 행사하기도 했다. 아사드 정권을 비판하는 미국의 태도도 모호하다. 시리아 내전에서 발을 빼려는 트럼프 정권의 잘못된 신호가 정부군의 화학무기 사용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리아 내전은 이슬람국가(IS) 축출 이후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다. 거점이던 동구타의 지배권을 상실한 반군은 북부지역으로 철수하기로 정부군과 대체로 합의했다. 아사드 지원국이라는 한계는 있지만, 러시아 이란 터키가 머리를 맞대고 사태 해결을 논의하기도 했다. 아사드 정권 인정을 두고 생각이 다르다지만, 더 이상 무고한 희생을 막으려면 하루빨리 미국과 러시아 주도로 유엔 차원의 내전 종식 방안을 혐의해 마땅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