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붕년 서울대병원 교수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보다 주요 정신질환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ADHD는 발병 후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까지 증상과 기능 장애가 지속되는 병이다. ADHD로 진단받은 어린이의 70%는 청소년기까지 증상이 지속되고, 이 가운데 50~65%는 성인이 돼도 증상이 지속된다.
ADHD 증상은 나이에 따라 증상이 달리 나타나는데 아동기가 지나 청소년기에 접어들면 ‘과잉행동’은 줄어든다. 하지만 앉아서 꼼지락거리거나 정리를 잘하지 못하는 등 ‘주의력 결핍-충동성’ 등은 지속된다. 또한 학교생활과 친구관계가 원만하지 못해 자존감이 떨어지고 위험한 행동을 일삼기도 한다. ADHD 환자는 어린이는 36만명, 청소년은 20만명, 성인은 150만명으로 추정된다.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 교수팀이 서울시 거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용 진단적 면담 도구(DISC)를 진행한 결과, 일반 청소년군(189명)보다 ADHD 진단 청소년(43명)은 우울장애가 3배 이상, 불안장애는 2배 이상, 품행장애는 20배 이상 높았다.
하지만 청소년기 ADHD 환자 대부분이 치료를 중간에 중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는 과도기로 신체ㆍ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감정의 기복이 심한 이른바 ‘질풍노도 시기’다. 그러나 지난 5년간(2013~2017년) 청소년 ADHD 치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ADHD 평균 치료율은 7.6%로 같은 기간 소아 ADHD 평균 치료율 14.0%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특히 지난해는 소아 ADHD 잠재환자 치료율은 22.3%인 반면, 청소년은 13.5%에 불과했다. ADHD로 진단받은 소아의 70%가 청소년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점을 감안하면 청소년기의 ADHD 치료 중단이 심각한 상황이다.
김 교수는 “해당 시기에 생긴 ADHD 증상을 사춘기나 ‘중2병’ 등으로 치부하면서 이를 일시적인 행동으로 여기기 때문”이라고 했다. 불안정한 친구관계, 우울증상, 학교 부적응 등이 ADHD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식하지 못해 치료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정신 질환 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주변 편견, 약물 치료의 낙인 효과, 청소년기 특성에 따른 환자 요인 등도 학생과 부모 모두에게 ADHD 치료를 하지 않으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부모들은 자녀가 폭력 등 심각한 행동을 하지 않거나, 학교 성적이 어느 정도 유지되면 치료를 임의적으로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들은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면서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챙기려고 하는데 이 때문에 부모와 학생 모두 치료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김봉석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ADHD는 어린이에서 성인까지 생애주기에 걸쳐 지속되는 신경정신질환으로 꾸준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