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둥 공기질도 지속적인 개선
중국발 황사 등의 원인으로 한반도 역시 황사와 미세먼지 앓이를 하는 탓에, 이와 관련해 근거가 부족한 주장이 적지 않다. 대표적인 것이 중국 당국이 수도 베이징(北京)과 그 주변의 공장을 한반도와 가장 근접한 산둥(山東)성으로 옮겨 한반도로 오염성 먼지를 많이 날리고 있다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몇 달 새 중국에선 대기오염이 꾸준히 개선되는 데 비해 한국에선 대기오염이 갈수록 심해지자 누리꾼들을 중심으로 '중국이 수도권 지역인 징진지(京津冀, 베이징·톈진·허베이의 약칭) 지역에 있는 공장을 동쪽 해안가인 산둥(山東) 지역으로 옮겼다'는 주장이 나온 게 사실이다. 이는 한중 네티즌 간에 상호 비방과 갈등을 부추기는 원인이 됐다.
그렇다면 이른바 산둥성으로의 공장 이전설은 사실일까. 이와 관련해 중국 환경전문가들은 아무런 근거가 없는 '루머'일 가능성이 크다고 말한다. 이들은 산둥성 역시 베이징에 못지않게 대기오염이 심각해 중국 당국의 관리를 받는 지역이라고 지적하면서, 그런 상황에서 산둥성으로 공장을 이전시키겠다느냐고 반문했다.
실제 중국 당국은 베이징, 톈진(天津), 허베이(河北), 허난(河南), 산둥(山東), 산시(山西) 등을 엄격한 대기오염 관리 정책 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중국 당국은 지난해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오염물 배출공장에 대한 대대적인 정리 작업을 벌여 오염물 배출공장 7만8천 개를 폐쇄했으며, 그 대상 숫자로 볼 때 허베이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이 산둥이었다.
이런 공장 폐쇄 덕에 산둥의 공기 질이 최근 5년간 지속해서 개선되고 있다고 중국 당국은 설명했다. 베이징의 환경전문가는 "산둥은 중국에서도 베이징 등 다른 5개 지역과 함께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으로 분류되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인 기준이 엄격한 편"이라며 "베이징이나 수도권 지역의 오염물 배출공장이 산둥으로 이전했다는 것은 과장된 주장"이라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이어 "만약 베이징의 공장들이 산둥으로 이전해 왔다면 최근 산둥의 공기 질이 개선된 것을 설명할 수 없다"며 "산둥의 내적 발전 요인으로 한국 대기에 악영향을 끼쳤을 수는 있지만, 베이징에 있는 공장이 산둥으로 옮겼다고 말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렇다면 '베이징의 공장이 산둥으로 옮겨 갔다'는 주장은 어떤 계기로 나오게 된 걸까. 전문가들은 베이징의 수도 기능을 재정비하는 '징진지(京津冀) 협동발전계획'과 중국발 대기오염에 대한 분노가 결합해 이 같은 주장이 제기됐을 것으로 추측했다. 시 주석은 2014년 베이징에 정치·문화·국제 교류·창의·혁신 등 기능 만을 남기고 나머지 물류·도매·교통·생산 등 기능을 베이징을 둘러싼 허베이와 톈진으로 이전해 수도다운 면모를 갖출 것을 지시했다.
이 정책에 따라 베이징 외곽의 일부 제조 공장과 생산 시설 등이 허베이와 톈진 등으로 이전됐다. 그러나 베이징에서 남쪽으로 한참 떨어진 산둥 지역에 공장들이 옮겨 갔을 가능성은 매우 작다.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베이징에 있던 공장들이 산둥으로 갔을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그 수가 한국의 대기오염에 큰 영향을 줄 정도는 아닐 것"이라며 "기본적으로 후커우(戶口·호적) 관리를 엄격하게 하는 중국에서 공장을 이전하는 일도 쉬운 일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이어 "중국도 한국 대기오염에 대한 영향을 인지하고 있고, 한중 양국은 지난해 문 대통령이 국빈방문에서 시 주석과 합의한 한중 환경보호협력센터 개설을 논의도 진행되고 있다"면서 "센터가 설립되면 미세먼지 발생 원인과 감축 방안 등 양국 공동연구가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