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영암 대불공단서 상량식 개최
200년 전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할 때 타고 갔던 배를 다시 만드는 과정 중 대들보를 올리는 의식이 일반에 공개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21일 지난해 6월부터 제작 중인 ‘조선통신사선’ 재현선에 돛대를 잡아주는 대들보 역할을 하는 멍에를 올리는 상량식이 22일 전남 영암군 삼호읍 용당로 대불공단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상량식은 배를 처음 만들 때 치르는 배짓기 고사, 배를 완성한 뒤 물에 띄우는 진수식과 함께 선박 제작의 3대 의식으로 꼽힌다.
재현선 제작 이후 처음으로 일반에 현장을 공개하는 상량식은 바다를 관장하는 사해 용왕에게 드리는 불제를 시작으로 상량문 낭독, 술잔을 올리는 초헌(初獻)과 아헌(亞獻) 상량 순으로 진행된다.
재현선의 멍에에는 해발 1,000m의 고지대에서 얻은 지름 60㎝, 길이 20m의 금강송 15그루가 사용됐다. 조선 국왕이 일본에 보낸 외교사절 조선통신사는 임진왜란 이후 1607년부터 1811년까지 12차례 파견됐다.
해양문화재연구소는 사행 기록과 선박 관련 자료가 남아 있는 ‘계미수사록’, ‘증정교린지’, ‘헌성유고’등 각종 문헌과 2015년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발굴된 조선시대 선박 ‘마도 4호선’ 등을 참고해 18세기 후반∼19세기 초반에 통신사가 탔던 선박을 복원하고 있다.
오는 10월 진수를 목표로 하는 복원 공정은 현재 65%를 마친 상태다. 강원도 삼척과 홍천에서 자란 70∼150년생 소나무 900여그루로 배 아래에 대는 저판(底板), 좌우의 외판(外板), 선수와 선미 등을 제작했다.
이귀영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장은 “배가 완성되면 승선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한국과 일본에서 열리는 조선통신사 축제에 활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경우 기자 gwpark@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