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우리말 톺아보기] 잉여롭다

입력
2018.01.04 14:04
29면
0 0

“이번 드라마 촬영이 끝나고 잠만 잤다. 굉장히 즐겁고 잉여롭다.” 어느 배우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여기에선 ‘잉여롭다’가 특별히 눈에 띄는데, 이 새말은 문맥상 ‘여유롭다’로 읽힌다. 그런데 ‘쓰고 난 나머지’란 뜻의 ‘잉여(剩餘)’가 ‘그것의 속성이 충분히 있음’의 뜻을 더하는 ‘-롭다’와 어울리는 건 어색하다. ‘명예롭다, 슬기롭다, 평화롭다, 새롭다...’ 등을 보면 어색함의 이유가 어느 정도 짐작된다. 그렇다면 ‘잉여롭다’란 표현은 ‘여유’와 ‘잉여’를 혼동한 결과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불러주는 데는 없고 집에서 게임이나 하면서 잉여롭게 지낸다”라는 한 청년의 말에 나온 ‘잉여롭다’는 ‘여유로움’이 아닌 ‘막막함’으로 읽힌다. 그 말엔 스스로를 ‘잉여인간’, 즉 ‘세상에 꼭 필요하지 않은 남아도는 사람’으로 보는 자괴감이 담겼다. “너 아니어도 이 일을 할 사람은 많다”라는 말을 귀에 못이 박히도록 들은 이들에겐 ‘여유’가 곧 ‘소외’와 ‘배제’일 수도 있을 터. 이처럼 언어의 질서와 현실의 삶이 괴리될 때 문법을 거스른 새말이 출현한다. 장덕진 교수의 칼럼에서 ‘잉여롭다’의 출현 맥락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지금의 20~30대에게 ‘잉여’는 정체성의 자연스런 한 부분이다. (중략) 우리가 만들어놓은 세상에 들어가지 못하고 남아도는 그들에게, 한가로운 것과 일하고 싶어도 아무도 시켜주지 않는 조바심 사이의 경계선은 촘촘하다. 그래서 그들은 한없이 ‘잉여롭다’.”(한겨레, 2012.06.24.)

곧 1인당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가 도래한다고 한다. 새해엔 우리들 모두 그 소득을 체감할 수 있기를, 그래서 ‘잉여롭다’의 쓰임이 잦아들고 ‘여유롭다’의 쓰임이 더 많아지길…

최경봉 원광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