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육성하는 최첨단 산업분야 가운데 하나는 전기자동차 산업이다. 여기엔 세계 최대 시장이지만 여전히 기존 자동차산업에선 그다지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중국이 자동차산업 자체를 전기차 중심으로 재편하겠다는 의지가 깔려 있다.
중국 내 자동차 판매규모는 2018년에 처음으로 연간 3,0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중국산업정보망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인구 1,000명당 자동차 보유대수는 미국(800대)이나 일본(591대)에 한참 못 미치는 140대에 불과하다. 2009년에 이미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시장으로 떠올랐지만 여전히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얘기다.
주목할 점은 중국 정부의 자동차산업 관련정책이 전기차를 비롯한 신에너지차 위주로 옮아가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주의 국가인 중국에선 정부 정책이 시장질서를 단기간에 재편하는 경우가 많다. 국가의 전략방향에 맞춰 민간영역에까지 강력한 규제를 하거나 특정 분야를 선정해 성장 드라이브를 걸기 때문이다. “모바일 서비스 분야의 선두주자는 이제 실리콘밸리가 아니라 중국”(뉴욕타임스)이란 평가가 나오는 게 단적인 예다. 중국 정부가 이번에 내건 자동차정책 방향은 2019년부터 전기차 판매 쿼터제 실시와 중장기적으로 가솔린ㆍ디젤차 생산 중단이다.
중국이 전기차에 주목하기 시작한 건 1991년 8차 5개년 계획을 제정하면서부터다. 2008년 베이징올림픽은 대규모 시범사업을 통해 전기차 육성 계획을 본궤도에 올려놓는 계기였다. 중국이 전기차에 강력한 드라이브를 거는 이유는 환경문제와 함께 기존 자동차산업의 진입장벽이었던 엔진기술 대신 배터리ㆍ모터ㆍ전장ㆍ센서 등 새로운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척할 경우 경쟁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중국은 세계 유수 자동차업체의 진출을 허용하면서 합작법인 설립과 기술 이전을 의무화했고 이를 통해 전반적인 기술 축적을 이뤄왔다. 하지만 기존 시장에선 중국 자체 브랜드의 위상이 그리 높지 않다. 반면 전기차 분야에선 이미 세계 최고인 테슬라를 따라잡기 시작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판매대수에선 지난해부터 전 세계 판매량의 절반 이상을 소화하고 있다. 십수년 간 전기차 개발과 시범사업 등에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고 전기차 구매시엔 보조금을 지급하거나 세금을 감면해줌으로써 공급과 수요 모두에서 전기차를 시장에 안착시킨 결과다.
중국은 최근 2019년부터 완성차 업체들이 판매량의 10%는 반드시 전기차로 팔도록 의무화했다. 2020년엔 그 비율이 12%로 올라간다. 또 같은 기간에 18조원을 들여 현재도 19만개로 미국(6만개)보다 훨씬 많은 전기차 충전시설을 460만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2040년 이전에 가솔린ㆍ디젤차 생산을 아예 금지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30년 넘게 전기차 관련기술을 발전시켜온 중국이 BYD(중국의 전기차업체)를 집중 육성하면서 자신감을 갖게 됐고, 이젠 세계시장 석권을 목표로 자국 시장을 자동차업체들의 무한경쟁 무대로 만들어가고 있다.
베이징=양정대 특파원 torch@hankookilbo.com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